지난해 울산지역 미세먼지 구성성분 분석 결과. 울산보건환경연구원 제공
울산지역 초미세먼지의 가장 많은 성분이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울산보건환경연구원은 야음동 미세먼지 성분분석측정소를 통해 지난해 한 해 동안 초미세먼지(PM-2.5) 구성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온’ 성분이 48.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울산지역의 초미세먼지 발생에 직접 배출보다는 2차로 오염물질 생성을 유발하는 간접 배출의 기여도가 크다는 것을 뜻한다고 울산보건환경연구원은 설명했다.
이온 성분 다음으로는 탄소 성분 15.5%, 중금속 성분 6.1% 순으로 분석됐다. 이온 성분은 황산염·질산염 등 8종, 탄소 성분은 유기탄소 등 3종, 중금속 성분은 철 등 19종이 각각 검출됐다.
지난해 울산지역 초미세먼지는 이온 성분 가운데서도 황산염이 36.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질산염 32.1%, 암모늄염 23.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울산이 다른 도시에 견줘 공장 지역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의 배출량이 많기 때문에 초미세먼지의 이온 성분 중 황산염 비중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은 자동차 등 이동오염원에 의한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많아 질산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 남구 야음동 미세먼지 성분분석측정소는 울산형 미세먼지의 특성을 파악하고 미세먼지 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지난 2019년 12월에 설치됐다.
울산보건환경연구원은 “울산의 초미세먼지 상당 부분이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2차 생성에 의한 결과로 확인됐다.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관리를 강화하고, 소규모 사업장의 노후 방지시설 교체 지원 등이 지속해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