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내 ‘작은도서관’들의 문을 사실상 닫으려고 했던 최근 마포구청의 처사(
기사 보기) 뒤에는 “도서관은 혈세를 낭비하는 곳”이란 인식이 있었습니다. 궁금해졌습니다. ‘공공성’을 담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도서관에 대해,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경제성’을 따져볼 수 있다는 걸까?
찾아보니,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는 연구 결과를 인용해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투자대비수익’(ROI·Return on Investment) 값이 3.66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투자 금액의 3.66배의 가치를 창출한다는 겁니다. 이 연구는 이용자의 ‘지불의사액’을 묻는 ‘조건부가치평가법’(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그러니까 실제 도서관 이용자에게 그 가치를 직접 책정하게 하는 방식에 기댔습니다. 이 결과는 국제도서관연맹(IFLA)이 2021년 발행한 ‘도서관 투자대비수익’(Library Return on Investment) 제목의 문건에도 소개됐습니다. 스페인, 캐나다, 미국 등 전세계 여러 지역에서 지난 10여년간 수행된 공공도서관 가치 평가 결과들과 함께 실린 문건입니다. 여기엔 조건부가치평가법뿐 아니라 민간 서비스와 비교하는 방식, 이용자 시간·비용·노력을 합산하는 방식 등이 소개됐습니다. “계량 가능한 용어로 가치를 입증하라”는 요구가 증가하자, 도서관들도 이에 맞서 다양한 수를 낸 셈입니다.
비용과 편익을 분석하는 ‘기계’에 가치의 증명을 맡기기엔 부적절한 존재들이 있고, 도서관 역시 그중 하나일 것입니다. ‘저들’의 언어를 받아들이면서도 가치를 증명하겠다는 몸부림 그 자체가, 무엇보다 강력한 존재 이유로 다가옵니다.
최원형 책지성팀장
circl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