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유전학자 이대한 성균관대 조교수
현대 진화론의 최전선 생생하게 풀어내
생명의 레시피 DNA 직접 읽게 된 인류
‘포스트 게놈’ 시대는 어떻게 펼쳐질까
현대 진화론의 최전선 생생하게 풀어내
생명의 레시피 DNA 직접 읽게 된 인류
‘포스트 게놈’ 시대는 어떻게 펼쳐질까
디엔에이(DNA)를 묘사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게티이미지뱅크
운명을 가르는 생명의 레시피
이대한 지음 l 바다출판사 l 1만7500원 그레고어 멘델은 완두콩 실험을 통해 모든 생물에게는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세계와는 다른, 개별 개체를 넘어 대물림되지만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또 다른 세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는 노란 콩만 생산하는 완두와 초록 콩만 생산하는 완두를 교배했을 때 그 자손들에선 노란 콩만 나타났지만, 자손들끼리 교배했을 때에는 또다시 초록 콩이 나타나는 현상을 발견했다. ‘표현형’(phenotype) 뒤편에 있는 ‘유전자형’(genotype)을 발견한 것이다. 그러나 유전자형의 세계를 눈으로 직접 보는 것은 1977년 디엔에이(DNA)를 직접 읽어낼 수 있는 염기서열 분석법(‘시퀀싱’)이 고안된 뒤에야 비로소 가능해졌다. 예쁜꼬마선충, 초파리 등을 통해 진화를 연구해온 유전학자 이대한(성균관대 생명과학과 조교수)은 첫 단독 저서 <인간은 왜 인간이고 초파리는 왜 초파리인가>에서 기존의 ‘순유전학’과 근본적으로 방향을 달리 하게 된 오늘날 ‘역유전학’이 어떻게 성립했는지, 여태까지 유전진화학의 성과는 무엇이고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 것인지 등을 해설한다. 친절하면서도 적확한 비유를 동원해 유전학 최전선의 복잡하고 어려운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전달하는 솜씨가 일품이다. 세포는 디엔에이 속에 들어 있는 ‘정보’를 읽어내어 알엔에이(RNA)나 단백질처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로 만들어낸다. 지은이는 이처럼 역동적이면서 정교하게 조절되는 ‘정보의 물질화’ 과정을 레시피(정보)가 음식(물질)이 되는 요리 과정에 비유한다. 요리사(환경)도 빼놓을 수 없다. 세포만이 읽을 수 있는 생명의 레시피를 읽어낼 수 없었던 ‘선사시대’에, 인간은 단지 요리된 음식만을 보고 레시피가 어떤 것인지 가늠해야 했다. 표현형으로부터 유전자형으로 향하는 순유전학이다. 20세기 들어 시퀀싱 기술의 발견 등으로 비로소 ‘역사시대’가 열렸다. 레시피(유전자형)를 직접 읽어내어 음식(표현형)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탐구하게 된 것이다. 2010년대 미생물학의 발전은 디엔에이를 직접 ‘편집’하게 해주는 ‘크리스퍼 가위’라는 선물까지 안겼다. 생명은 이 지구에서 이루 다 거명조차 할 수 없이 다양한 표현형들을 만들어내 왔다. 생명의 역사, 곧 진화의 역사는 기본적으로 모든 생명에게 심어진 자기복제 프로그램에 따른 ‘닮음’(유전)에 기댈 뿐 아니라 대물림된 것들 사이에서 창의적으로 나타난 ‘다름’(변이)을 그 핵심으로 삼는다. “지구를 뒤덮은 생명의 다양성은 변이라는 마르지 않는 원료가 없었다면 출현하지 못했을 것이다.” 유전학의 기본이 ‘닮음’을 이해하는 것이라면 발생학의 초점은 ‘다름’에 있다. 같은 수정란에서 유래한 똑같은 디엔에이를 지녔더라도 수많은 세포의 형태와 기능은 천차만별이다. 과학자들은 초파리의 몸이 머리-가슴-배 순서로 형성되는 이유는 ‘혹스 유전자’가 작동하여 각 구역마다 특정한 조합의 유전자 스위치를 켜고 끄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같은 디엔에이를 가진 세포가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패러독스를 풀 실마리를 찾아낸 것이다. 유전체를 직접 들여다본 결과 인간이 예쁜꼬마선충이나 초파리와 비슷한 수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고, 또 혹스 유전자를 포함해 많은 수의 유전자를 공유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말하자면 생명은 한정된 재료들을 가지고 엄청나게 다양한 요리를 하고 있음이 분명해졌다.”
초파리와 함께 유전학자들의 주된 연구 대상이 되는 예쁜꼬마선충. 1㎜ 길이에 투명한 몸체를 지니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