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출산·육아 과정 속에서
자기 상실 위기 겪은 20세기 여성작가들
‘모성적 주체성’으로 독창적 작품 빚어내
줄리 필립스의 ‘창조적 모성’ 통찰 빛나
자기 상실 위기 겪은 20세기 여성작가들
‘모성적 주체성’으로 독창적 작품 빚어내
줄리 필립스의 ‘창조적 모성’ 통찰 빛나
돌보는 사람들의 창조성에 관하여
줄리 필립스 지음, 박재연·박선영 ·김유경 ·김희진 옮김 l 돌고래 l 3만3000원 시몬 드 보부아르는 1949년에 펴낸 〈제2의 성〉에서 “모성은 여성을 노예로 만드는 가장 세련된 방법”이라고 했다. 수많은 가능성의 별을 품고 반짝이던 여성들은 결혼하고 아이를 낳는 순간 ‘돌봄과 모성’이라는 ‘덫’에 걸리고 만다. 구조적인 성차별이 여전히 존재하는 세상에서 엄마들은 “자신이 누구였는지, 무엇을 원했는지” 잊어버리기 십상이다. 더군다나 그 여성이 자신만의 글이나 시, 이야기를 쓰고 그림을 그리고 싶은 예술가라면, 그는 절대적인 ‘시간 빈곤’ 속에서 ‘자기 자신’(self)을 잃어버릴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나의 사랑스러운 방해자>에서 조명한 20세기 여성 작가들은 그 위험천만한 ‘모성 지대’에서 어떻게든 살아남아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들을 탄생시켰다. 미국의 여성 초상화가 앨리스 닐부터 영국 소설가 도리스 레싱, 미국 판타지 작가 어슐러 르 귄, 미국 소설가이자 평론가인 수전 손태그 등이 바로 그들이다. 비평가이면서 전기 작가인 저자 줄리 필립스는 1960년대 이후 확산된 페미니즘이라는 자양분 속에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창조한 여성 작가들에 주목했는데, 그들의 ‘모성’(또는 엄마)과 ‘창조성’(또는 작가)이 만나는 지점에서 ‘창조적 모성’이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추출해냈다. 여기서 말하는 모성은 ‘자기’를 잃지 않기 위해 잡초처럼 뽑아버려야 할 투쟁의 대상으로서의 모성도 아니고, 강하고 공격적이라는 남성성과 대비되는 부드럽고 관계지향적인 모성을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저자가 주목하는 모성은 “숲속에서 길을 잃고 스스로 길을 발견하고자 했던 주인공”이었던 여성들이 “자기발견의 여정”에서 만난 모성이다.
1943년 뉴욕에서 두 아들을 곁에 두고 그림을 그리고 있는 앨리스 닐의 모습이다. “그림을 그려야 살 수 있었다”는 앨리스 닐은 그림을 그리기 위해 아이들을 아파트 비상계단에 방치했다는 모함을 듣기도 했다. 돌고래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