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7월 28일 문학 새 책

등록 2023-07-27 18:39수정 2023-07-27 19:11

그곳에 엄마가 있었어

위안부의 진상을 처음 알린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1991) 등의 작가 윤정모(77)의 신작. 해방 후 가족에게 돌아가지 않았던 엄마, “너는 쪽발이를 닮았다”고 자식을 혼내던 학도병 출신 아버지의 가족사. “고통을 준 나라와는 매국적 협상을 할 수 없다고 각인하기 위해 이 소설을 썼”다.

다산책방 l 1만7000원.




다시 시작하는 경이로운 순간들

“시를 가지고 매일 하루 두 시간씩 365일을 계속 말하래도 기쁘게 할 수 있다”고 농하는 시 전문 번역가 정은귀 한국외대 교수의 에세이. 가령 송재학의 ‘난민’ 한 편으로 이탈리아 람페두사까지 닿는 따스한 시선들 가득하다. 국외시 감상은 엇비슷이 나온 ‘나를 기쁘게 하는 색깔’(마음산책)에 많다.

민음사 l 1만7000원.




노 휴먼스 랜드

제3회 창비×카카오페이지 영어덜트 소설상을 받은 김정의 첫 소설. 기후재난 결과 한국은 살 수 없는 곳. 미아는 유엔의 ‘노 휴먼스 랜드’ 조사단으로 서울을 관찰하던 중 앤의 비밀연구소를 맞닥뜨린다. 이타심이 커지는 물질 ‘플론’을 살포해 인류를 구원하겠다는 자. 환경위기의 역설을 시각적으로 펼친다.

창비 l 1만5000원.




우리는 밤과 화해하기 원한다

“그의 눈은 아득히 멀리 있다/ 어린 시절에 그는 이미 하늘을 방문했다//…// 붙잡을 수 없는 그의 그림자는/ 내 방의 저녁에 머문다” 시제는 자살한 남자 시인 ‘게오르크 트라클’. 독일의 가장 위대한 서정시인으로까지 불린, 그러나 삶은 불행했던 여성 엘제 라스커 쉴러(1869~1945)의 시집. 작가 배수아 번역.

아티초크 l 1만6700원.




건널목의 유령

‘제노사이드’ 등을 쓴 사회파 추리소설가 다카노 가즈아키(59)가 11년 만에 내놓은 신작. 1994년 말 도쿄의 한 건널목에서 찍힌 여성 유령의 신원을 일간지 기자였던 마쓰다 노리오가 추적한다. 160명 사망자 중 단 한명의 신원도 밝혀지지 않은 60년대 열차사고가 한 배경. 올해 나오키상 후보작.

박춘상 옮김 l 황금가지 l 1만7000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1.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알고 보면 반할 걸”…민화와 K팝아트의 만남 2.

“알고 보면 반할 걸”…민화와 K팝아트의 만남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3.

“우리 노동자의 긍지와 눈물을 모아”…‘저 평등의 땅에’ 작곡 류형수씨 별세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4.

조성진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5위…서울은 가장 뜨거운 음악도시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5.

2025년 ‘젊은작가상’ 대상에 백온유…수상자 7명 전원 여성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