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학자 정재훈 교수, 위구르·돌궐 이어 흉노 역사 복원
‘노용 올’ 유적에서 출토된 직물에 담긴 흉노인의 모습. 사계절 제공
기원전 209~216
정재훈 지음 l 사계절 l 3만원 중앙아시아 또는 유라시아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오랫동안 농경 정주문명을 중심으로 바라봤던 세계사를 비판적으로 톺는다. 그저 문명의 바깥이라 여겨왔던 초원과 그곳을 중심으로 살았던 유목민을 새로운 ‘역사 단위’로 파악해야 한다는 과제가 녹아 있다. 동서로는 태평양 연안의 만주 지방에서 동유럽까지, 남북으로는 시베리아 삼림지대에서 인도양까지, 유라시아 대륙에 명멸했던 여러 유목 제국들은 ‘바깥’에 있던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농경 문명과 서로 심대한 영향을 주고받아왔다. 이 분야의 고전인 르네 그루세의 ‘유라시아 유목제국사’(1939)를 우리말로 공역했던 정재훈 경상국립대 교수(사학과)는 ‘위구르 유목제국사: 744~840’(2005), ‘돌궐 유목제국사: 552~745’(2016) 등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며 주요 유목제국에 대한 역사를 써왔다. 이번에 펴낸 ‘흉노 유목제국사: 기원전 209~216’는 고대 유목 제국사를 총정리하는 3부작의 완성이다. 지은이는 “흉노 유목제국사를 복원하는 작업은 몽골 초원을 중심으로 한 북아시아의 유목 세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사, 나아가 세계사에서 흉노의 위상과 의미를 곱씹어보는 과정”이라 밝혔다. 위구르사도 새롭게 정리해 내년쯤 출간할 예정이다. 고비사막 남북에 형성된 ‘몽골 초원’을 무대로 삼아 기원전 3세기께부터 그 존재감을 드러냈던 흉노(匈奴)는 ‘세계 최초의 유목 제국’으로 꼽힌다. 다만 워낙 오래 전 일인데다 스스로 남긴 문헌 기록이 전혀 없어, 중국 쪽 한문 기록을 토대로 그 존재를 더듬어볼 수밖에 없다. 1924년 발굴된 ‘노용 올’ 유적을 비롯해 고고학적 발굴 성과들이 꽤 나오기도 했지만, 지은이는 “흉노는 ‘이동’, 중국은 ‘정주’라는 이분법적 접근”을 경계하며 한문 자료를 중심으로 삼고 발굴 자료와의 간극을 좁히는 데에 주력했다. 책이 전반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흉노라는 유목제국의 ‘문화적 복합성’과 ‘다원성’이다. 지은이는 사마천 ‘사기’의 ‘흉노열전’을 파고들어, 유목민의 습성에 대한 사마천의 설명이 후세에 “(불박여 사는 곳 없이 정처 없이) 물과 풀을 따라 옮겨 다닌다”(逐水草遷徒)는 풀이로 잘못 이해되어 굳어졌다고 지적한다. 가축을 키우는 유목민들에게 목초지는 유한한 것이라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맴돌며’ 재생산을 할 수 있었고, 맴도는 범위는 가족 내지 씨족이 소유한 ‘분유지’(分有地)로 고정되어 있었다. 사마천은 이를 “맴돌며 옮겨다닌다”(轉移)고 표현했다. 그 의도는 유목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중국과는 완전히 다르지만 “중국에 대응할 만큼 독자적인 체계를 갖춘 상대”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정처 없이 떠도는’ 것으로 풀이되는 바람에 유목민에 대한 왜곡된 고정관념이 만들어진 셈이다.
흉노 인물상. 사계절 제공
골 모드 20호분 출토 유물. 사계절 제공
남흉노 시기의 와당. 사계절 제공
금제말띠드리개. 사계절 제공
기원전 4세기~기원전 3세기 호(胡) 문화를 보여주는 황금 왕관. 사계절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