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거리
애나 로웬하웁트 칭은 ‘세계 끝의 버섯’에서 여러 다양한 소재들을 가지고 독특한 분석들을 거침없이 내놓습니다. 그중 북미 태평양 연안 오리건주 캐스케이드산맥 숲에서 송이버섯이 많이 자라게 된 과정을 서술한 대목이 특히 흥미롭습니다. 19세기 백인들이 처음 이곳에 왔을 때 그들이 본 것은 거대한 폰데로사소나무들이었답니다. 과거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주로 ‘화전’을 했는데, 이것이 다른 나무들보다 불에 강한 폰데로사소나무가 자라는 데 유리했기 때문입니다.
미국인들은 폰데로사소나무를 대규모 벌목해 목재 산업을 일으켰고, 이는 산림청 설립 등 산림 자원을 관리하는 정책의 발전에도 영향을 줬습니다. 당시 산림감독관들은 산불을 엄금하는 한편 나무를 한번에 몽땅 베어낸 뒤 다시 심는 정책을 폈는데, 뜻한 바와 다르게 이는 폰데로사소나무가 사라지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산불을 금지하자 불에 강한 폰데로사소나무 대신 다른 수종이 그 자리를 대신해버린 겁니다. 그 대표적인 수종이, 폰데로사소나무와 반대로 불에 약하지만 불탄 뒤엔 빽빽하게 다시 자라나는 로지폴소나무입니다.
숲은 과거의 매력을 잃고 폐허가 되어버렸지만, 산불 금지 덕에 과거보다 오래 살게 된 로지폴소나무는 뜻하지 않게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냅니다. 소나무의 잔뿌리에 기생하는 송이버섯 곰팡이는 적어도 40년 이상 된 소나무에서 버섯을 맺는데, 이곳 로지폴소나무들이 불에 안 타고 오래 살게 되자 이전과 달리 송이버섯을 잔뜩 맺게 된 것이죠. “몇 가지 실수를 했다. …그리고 송이버섯이 등장했다.” 누구의 의도도 아닌, 인간-비인간이 함께 만들어낸 이 생존의 풍경은 참으로 경이롭습니다.
최원형 책지성팀장 circle@hani.co.kr
땅에서 솟아나고 있는 송이버섯의 모습. 현실문화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