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언 니 그리파 지음, 서제인 옮김 l 을유문화사(2023) 여기 두 여성 시인이 있다. 한 사람은 살해당한 남편의 피를 손바닥에 받아 마신 뒤 전설적인 시 ‘아트 올리어리를 위한 애가’를 구술한 아일랜드의 아일린 더브, 또 한 사람은 네 아이를 낳아 키우며 오직 임신과 출산과 수유 상태를 반복 중인 저자 데리언 니 그리파다. 시인으로 명성을 쌓아 가던 데리언 니 그리파가 처음 발표한 산문 ‘목구멍 속의 유령’은 자발적으로 아이를 넷 낳고 가사 노동에 전념하며 자신을 지우길 선택한 시인이 이상한 충동에 사로잡혀 18세기의 시인 아일린 더브의 삶과 흔적을 파고드는 이야기다. 이 산문을 에세이로 볼 것인지 소설로 볼 것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작가 역시 장르의 규정이 무의미하다는 듯 책의 시작과 끝에 단호한 한 문장을 박아넣는다. ‘이것은 (오직) 여성의 텍스트’라고. 이 여성의 텍스트는 황금이나 성수, 성유 같은 신비로운 재료가 아닌 지극히 일상적이고 육체적인 것으로 쓰였다. 아일랜드어로 구술 채집된 아일린 더브의 시를 한 행 한 행 영어로 옮기는 과정은 작가에게 수 세기 전 집안일에 속하는 행위들을 모방하는 것에 가깝다. 작가의 번역은 누비이불을 오리털로 채우기, 밀가루 반죽 치대기, 커튼 솔기가 정확히 맞아떨어질 때까지 몇 번이나 다시 꿰매기, 러그 정돈하기, 장식품 하나하나에 광내기와 비슷하다. 또 여성의 삶을 발굴하는 과정은 남성 일색인 기록에서 간혹 여성이 언급되는 부분을 찾아 모든 기록과 편지를 하나하나 깎아내는 행위, 즉 의도적인 삭제 행위와 같다. 일련의 과정에 대해 작가는 ‘여성 안에는 언제나 최소한 약간의 좋은 모유가 남아 있다. 여성은 흰 잉크로 글을 쓴다.’라는 엘렌 식수의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 역시 이 글을 흰색 잉크로 썼음을 천명한다. 관련 도서관과 박물관, 유적을 샅샅이 뒤져 아일린 더브의 흔적을 찾아가는 작가의 여정을 따라가다 보면 우리도 자연스럽게 18세기 무렵의 역사와 여성들의 삶을 더듬게 된다. 아일린이 비보를 전해 듣고 단 세 걸음 만에 남편을 향해 달려갔을 때 두 사람 주변에는 노파뿐이었다는 기록이 있다. 작가는 이 노파를 나이 든 아일린의 현현이라고 추측하지만, 동시에 아일린을 추적 중인 자신의 모습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나아가 책을 읽는 누구나 그 노파라고 한들 이상하지 않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우리는 노파의 눈으로 울부짖는 아일린을 보고 흰 그림자 같은 작가의 손으로 아일린의 등을 쓸어내리는 행위에 가담한다. 작가의 말처럼 ‘이것은 존재하는 것조차 작은 기적인 여성의 텍스트’이지만, 활자라는 평범한 경이를 통해 수백 년 전 한 여성과 지금의 우리를 촘촘히 꿰매 연결하는 크나큰 기적을 수행한다. 수유를 중단한 작가는 왼쪽 유방에서 덩어리를 감지한다. 검사 결과 암은 아니라는 판정을 받은 그 덩어리는 작가가 다른 사람들의 몸속으로 흘려보냈던 다량의 모유가 남긴 흔적이자 마침표에 가까운 쉼표, 암모나이트 화석처럼 미래의 누군가에게 전하는 단서이기도 하다. 그러니 한 번만 더 강조하고 싶다. 이것은 작가가 심장 가까이 지니고 다니는 흰색 잉크로 쓴 여성의 텍스트라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