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글쓰기는 가슴속 돌덩이 쏟아내는 것

등록 2012-08-31 20:26

<속시원한 글쓰기> 오도엽 지음/한겨레출판·1만2000원
<속시원한 글쓰기> 오도엽 지음/한겨레출판·1만2000원
잠깐독서
<속시원한 글쓰기>
“네 멋대로 써라.”

화장실에 재미삼아 끄적인 ‘똥발’ 낙서로 ‘얼떨결에’ 시인이 됐다. 공단, 농촌, 도시를 떠돌며 만난 기막힌 목소리를 그대로 옮겨 적자 르포작가가 됐다. 그러고 보면 글쓰기, 참 쉽다. 하지만 막상 잘 쓰고자 하면 안 써지는 게 글쓰기다. 시인이자 르포작가로 살아 온 지은이도 그랬다. 시인이 되고서는 손가락이 굳어버렸다. ‘있어 보이게’ 쓰려는 욕망이 앞선 탓에 세 해 동안 시 한편도 쓸 수 없었다. 청소년, 노동자들과 함께 한 글쓰기 수업을 묶어낸 이 책은 지은이의 이런 깨달음이 바탕이 됐다.

내 멋대로 쓰는 건 어떻게 쓰는 걸까? “욕도 사투리도 속마음도 거침없이 내뱉는 글”이다. 지은이는 ‘손’이 아닌 ‘입’으로 쓰라고 말한다. 요런 글이야말로 재밌고 속도 후련하단다. ‘완성도’보다 중요한 ‘울림’이 “나 아니면 누구도 쓸 수 없는 이야기”에 녹아 있어서다. 가슴속 돌덩이를 꺼내 자신과 묻고 답하는 게 글이요, “유서를 쓰다가 삶의 의지를 찾기도” 하는 게 글의 힘임을 풀어 놓는다. 책 속에 인용된 평범한 사람들의 글은 <속시원한 글쓰기>의 훌륭한 보기다.

자신만의 이야기가 바닥나면 어떻게 할까? 지은이는 ‘다독, 다사, 다작’이라는 ‘삼다’에 ‘다노’를 글쓰기 비방으로 얹는다. 잠시 책을 덮고 일을 하거나 이웃과 수다를 떠는 것. 또다른 삶 속으로 들어가면 글이 터져 나온다는 얘기다. ‘인터뷰 하는 법’, 글맛 살리는 문장 고침 ‘9가지 팁’도 챙겨 읽을 만하다.

권귀순 기자 gskw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나주 초등생 아버지 눈물 “정말 착한 아이…”
“김대중과의 화해가 죽음을 불러왔어”
애플은 왜 자꾸 도둑맞았다는 걸까요?
하버드 대학, 125명 집단 부정행위 ‘충격’
“문재인 굳히기냐 결선투표냐” 1일이 고비
개와 고양이는 정말 앙숙일까
[화보] 우산의 수난시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이승환, ‘대관 취소’ 구미시장 상대 헌법소원…“끝까지 갈 것” 1.

이승환, ‘대관 취소’ 구미시장 상대 헌법소원…“끝까지 갈 것”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2.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경주 신라 왕궁 핵심은 ‘월성’ 아닌 ‘월지’에 있었다 3.

경주 신라 왕궁 핵심은 ‘월성’ 아닌 ‘월지’에 있었다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4.

구준엽 아내 서희원 숨져…향년 48

“알고 보면 반할 걸”…민화와 K팝아트의 만남 5.

“알고 보면 반할 걸”…민화와 K팝아트의 만남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