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5천명 사는 시골마을 저택
책방으로 개조하는 과정 풀어놔
비웃던 주민들의 보물로 재탄생
책은 새벽 세시, 방 다섯개에 욕실은 세개이지만 그중 제대로 작동하는 것은 하나뿐인 저택에서 심란함에 잠까지 달아난 여주인, 웬디 웰치의 한숨으로 시작한다. 미국 동부 버지니아주의 애팔래치아 산맥 한가운데 있는 탄광촌 마을인 빅스톤갭으로 이사간 뒤 부부가 가장 많이 들은 말은 “미쳤군요!”였다. 1903년에 지어진 덩치만 커다란 저택은 문을 열고자 당기면 문고리가 떨어지는 상태였는데 외지에서 온 부부가 그 집을 구입해 헌책방을 차린다니 주민들은 매일 혀를 찼다.
혀는 주민들만 찬 게 아니다. 지은이는 책을 시작하며, 자신들이 벌인 무모했던 일을 되돌아보며 혀를 백번도 더 찬다. 한동안 비어 있던 집에 누가 들어간 줄 알고 새벽에 들이닥친 경찰이 “왜 이 집을 샀느냐”고 묻자 지은이는 속으로 “우리가 미쳤거든요”라고 대답한다. 지은이의 속마음은 책 전체에 굵은 고딕체 글씨로 박혀 있는데 자조적인 내용에 유머가 섞여 읽을 때마다 킥킥 웃게 된다. 이 책이 지닌 여러 미덕 중 하나다.
이 저택을 구입하기 직전까지만 해도 웬디 웰치는 매일같이 ‘독사 굴’로 출근해야 했다. 민속지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자신이 꿈꾸던 직장인 미국의 한 정부 관련 기관에 취직했다. 그런데 그곳은 그가 꿈꾸던 곳이 아닌 정부 기관 내 알력 다툼의 현장일 뿐이었다. ‘물거나 물리거나’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직장을 다니며 그는 괴로웠다. “내가 좀비라면 모를까” 더는 이렇게 살 순 없다고 생각했을 때 빅스톤갭의 저택이 눈에 들어왔다.
하지만 부부에겐 돈이 없었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발라드 가수인 남편 잭은 “우리 더는 그렇게 살지 말자”고 용기를 주었다. 남편은 빈말을 하는 사람은 아니었지만 지갑은 비어 있었다. ‘독사 굴’ 근처에 구한 도시의 집은 경기 불황을 맞이해 팔리지 않았다. 그런데도 덜컥 빅스톤갭의 저택을 계약하고 1층에는 헌책방, 2층에는 살림집을 차리기로 했다. 광부와 은퇴 노인들이 우글우글하고 풋볼 경기와 고등학교 동창회가 가장 큰 이벤트인, 주민 5천명이 사는 이 마을에 말이다.
지은이는 눈물나는 궁상도 웃음으로 승화시키는 글솜씨로 헌책방을 준비하는 모든 과정을 풀어놓는다. 돈 없이 서점 꾸미기 과정을 보자. 은행에서 200달러를 인출해 목재와 망치, 못을 샀다. 난장판인 1층 거실에 책꽂이부터 직접 설치했다. 책을 살 돈이 없으니 우선 갖고 있던 책들 중에 팔 것을 골랐다. 학자인 아내와 음악가인 남편은 꽤 많은 책을 갖고 있었다. 그래도 자기 책을 선뜻 내놓기는 아쉬운 법, 부부는 서로 책을 숨기고 숨긴 책을 찾아내는 ‘생난리’를 치른 뒤에 1500권의 책을 책방에 ‘입양’ 보냈으나 안타깝게도 그 정도로는 대저택 책꽂이의 반의 반도 안 찼다. 하루하루가 책과의 전쟁, 아니 돈과의 전쟁이었다.
그렇게 빈 책장에 신기하게도 주민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갖다 준 책들이 쌓여갔다. “미쳤다”고 하던 주민들도 “시간이 남아서”라며 헌책방을 둘러보기 시작했다. 헌책방 주인도 정신을 차리고 책 코너마다 와인을 가져다 놓거나 찻잔을 준비하며 ‘문화 공간’ 만들기에 나섰다. 나중에는 지역 도서관과 합작해 온라인 판매 사이트까지 만들 정도가 됐다.
사업 수완도 괜찮다. 중고 서점 운영자에게 가장 골칫거리는 베스트셀러였다가 한물간, 이미 책꽂이에 주르륵 꽂혀 있는 양장본 소설책을 어찌할 것인가였다. “머리 달리는 곰탱이한테는 너무 어려운 일”이라고 비명을 지르면서도 지은이는 방법을 찾아낸다. 이름하며 ‘퀵 트레이드’. 집 뒤쪽 차고 옆, 캠프 장비나 넣어둘 만한 벽장 같은 공간에 책 교환 코너를 만들었다. 두 권 기부하고 한 권 가져가라고 했는데 책이 엄청나게 쌓였다. 5달러 이상 구매 고객에게 퀵 트레이드 책을 한 권 얹어줬더니 반응이 폭발적이었다.
그리하여 마침내 부부의 헌책방은 검소하지만 구차하지는 않게 살 수 있을 정도의 수익을 내기에 이르렀다. 개점 5년이 지났을 때 사업을 확장하려면 다른 지역에 2호점을 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처럼 사는 것”을 택했다. 저녁 시간 불쑥 들른 동네 주민이 던지고 간 꾸러미에는 좋은 위스키와 함께 쪽지가 붙어 있다. “잭과 웬디, 당신들이 나타나기 전에는 우리가 뭘 하고 지냈는지 모르겠어요! 우리 마을에서 제일 귀한 보물을 위해 보물 사냥 좀 해봤어요. 맛있게 드세요!” 그거면 됐다.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성추행 혐의’ 윤창중 곧 미국 경찰에 출두할 듯
■ 기생충학자 서민 “못생겼다고 아버지도 나를 미워했지만…”
■ 김무성 앞에서 새누리당 의원은 왜 허리를 그렇게 굽혔나?
■ 미 아이비리그 여대생들의 ‘신 성풍속도’
■ [화보]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 ‘촛불’ 해외에서도 타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