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보육원 천사들의 ‘크리스마스 선물’

등록 2013-12-23 19:28수정 2013-12-23 23:51

‘이삭의 집’에 사는 초등학생들이 직접 만든 그림책 <크리스마스 선물>의 그림들. 성탄 선물을 기대하는 아기 곰(위)의 표정과 착한 아기 곰에게 선물 여러개를 전달하는 루돌프의 모습(아래)을 정성껏 그렸다. 그림책공작소 제공
‘이삭의 집’에 사는 초등학생들이 직접 만든 그림책 <크리스마스 선물>의 그림들. 성탄 선물을 기대하는 아기 곰(위)의 표정과 착한 아기 곰에게 선물 여러개를 전달하는 루돌프의 모습(아래)을 정성껏 그렸다. 그림책공작소 제공

의정부 ‘이삭의 집’ 어린이들
이야기 만들고, 직접 그림 그려
그림책공작소가 책 내고 앱 제작

아기 곰이 숲 속에서 산타 할아버지가 떨어뜨리고 간 커다란 선물 주머니를 주웠다. “왜~ 신난다!” 집으로 가던 아기 곰은 추위에 떠는 토끼를 만났다. 옷 선물을 주었다. 배가 고픈 생쥐도 만났다. 먹을 것을 주었다. 손이 시려운 사슴에게 장갑을 주고 나니 선물 주머니는 텅 비고 말았다. “하나도 없는데 기분이 좋은걸.”

무연고 아이들 100여 명이 모여사는 의정부의 ‘이삭의 집’ 어린이들이 만든 이야기다. 초등학교 1~4학년 7명이 모여 이 이야기에 맞춰 연필·크레파스·색연필로 그림을 그렸고, 낭독을 했고, 성탄 노래까지 불렀다. 이 모든 콘텐츠를 담아 <크리스마스 선물>이란 제목의 안드로이드용 애플리케이션이 탄생했다. 무료와 유료(1000원), 두 버전이 있으며 수익금은 전액 ‘이삭의 집’에 기부된다.아기 곰이 숲 속에서 산타 할아버지가 떨어뜨리고 간 커다란 선물 주머니를 주웠다. “와~ 신난다!” 집으로 가던 아기 곰은 추위에 떠는 토끼를 만났다. 옷 선물을 주었다. 배가 고픈 생쥐도 만났다. 먹을 것을 주었다. 손이 시린 사슴에게 장갑을 주고 나니 선물 주머니는 텅 비고 말았다. “하나도 없는데 기분이 좋은걸.”

무연고 아이들 100여 명이 모여 사는 의정부의 ‘이삭의 집’ 어린이들이 만든 이야기다. 초등학교 1~4학년 7명이 모여 이 이야기에 맞춰 연필·크레파스·색연필로 그림을 그렸고, 낭독을 했고, 성탄 노래까지 불렀다. 이 모든 콘텐츠를 담아 <크리스마스 선물>이란 제목의 안드로이드용 애플리케이션이 탄생했다. 무료와 유료(1000원), 두 버전이 있으며 수익금은 전액 ‘이삭의 집’에 기부된다.(앱 다운로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moglue.u21670747c8984c06a4a5c40ddaeccd6f)

기획을 이끈 사람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예술이론을 공부하고 그림책 출판사를 차린 이기석(37) 그림책공작소 대표다. 딸아이를 낳은 뒤 “아이들이 직접 그린 그림책을 만들고 싶다”는 꿈을 갖게 됐다는 이 대표는 지난 8월부터 문화적 혜택을 잘 받지 못하는 곳의 아이들을 찾아나섰다. 인제군 신원분교 어린이들과 함께 만든 그림책 <신월 분교 아이들의 가을 운동회>이 첫 작품이다. 즐거워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며 다음 행선지로 선택한 곳이 무연고 아이들이 사는 보육원이었다.

“그림책 작업을 위해 보육원을 6번 정도 찾아갔는데 아이들이 그림에 푹 빠져 너무도 재밌어하며 ‘잘 시간까지 같이 있자’고 붙잡곤 했다”고 이 대표는 말했다. 그림책을 종이책으로 펴내긴 했지만 대량 생산을 하지 못해 판매는 하지 않는다. 기념의 의미로 아이들과 나눠가졌을 뿐이다. 시간에 쫓겨 아이폰용 애플리케이션은 만들지 못한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동화 속에서 빈 선물 주머니를 갖고 집에 돌아간 아기 곰은 어떻게 됐을까. 그날 밤 산타클로스는 “너에겐 더 많은 선물 주머니를 줘야겠구나”라며 잠든 아기 곰에게 선물을 여러 개 주었다. 아이들이 꿈꾸는 ‘나눔의 세상’은 이런 모습이다. 과정이 더 아름다웠던 작업이었지만 결과물의 수준도 만만치 않다. 잠들기 직전까지 고사리 손으로 덧칠한 그림, 한 단어 한 단어 정성을 다해 낭독한 동화, 손 잡고 부른 캐롤송은 아이들만이 줄 수 있는 감동을 전해준다. 앱 관련 문의 librarybus@naver.com

임지선 기자 s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2.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3.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시그널’ 10년 만에 돌아온다…내년 시즌2 방송 4.

‘시그널’ 10년 만에 돌아온다…내년 시즌2 방송

할리우드 ‘태풍의 눈’으로 떠오른 AI, 아카데미도 접수하나 5.

할리우드 ‘태풍의 눈’으로 떠오른 AI, 아카데미도 접수하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