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고사 논쟁 핵심…동북아재단 21일 토론회
이번엔 패수(浿水)다.
도돌이표 논쟁이 계속되고 있는 상고사 분야에서 핵심 쟁점의 접점 찾기를 시도하는 동북아역사재단 주최 ‘상고사 토론회’가 21일 오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다. 왕검성과 한군현의 위치를 주제로 한 지난 3월 1차 토론회에 이어 이번 토론회에선 ‘패수는 어디인가?’를 다룬다.
패수는 “요동의 옛 요새를 고쳐 패수에 이르러 (고조선과 한나라의) 국경을 삼았다”는 사마천의 기록(<사기> 조선열전)으로 미루어 두 나라의 국경선으로 추정된다. 고조선의 강역을 가리는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정확한 위치를 두고는 학자마다 견해가 달라 난하설(윤내현), 대릉하설(북한), 혼하설(학계 다수), 압록강설(정약용), 청천강설(이병도) 등이 존재해 왔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혼하설’의 박준형 박사(연세대 동은의학박물관)와 ‘난하설’의 김종서 박사(한국과 세계의 한국사 교육을 바로잡는 사람들의 모임)가 각각 발표에 나선다. ‘고조선 패수의 위치’라는 발표문에서 박 박사는 흉노를 끊임없이 견제한 한나라의 대외정책, 그 결과 흉노와 고조선이 연대했을 가능성 등을 짚으며 고조선과 한, 흉노의 접경지대로 혼하 일대가 가장 유력하다고 결론을 낸다.
반면 ‘고조선과 한사군의 위치로 본 패수의 실제 위치’를 발표하는 김 박사는 고조선의 멸망 전후 패수의 위치가 다르다고 주장한다. 애초 패수는 요서의 난하 유역이었지만, 고조선 멸망 후 설치된 낙랑군의 패수는 그보다 뒤로 물러난 대릉하 일대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두 사람의 발표가 끝난 뒤엔 심백강 박사(민족문화연구원)와 이후석 박사(숭실대)가 참여하는 종합토론이 이어진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