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혁명, 광장, 그리고 여성

등록 2016-12-08 18:44수정 2016-12-08 18:53

책거리
최근 인터넷서점 예스24의 집계를 보면, 올 한해 종이책 판매 점유율 1위는 40대 여성(23.6%)이 차지했습니다. 2위는 30대 여성(17.8%), 3위는 20대 여성(16.5%), 4위는 30대 남성(12.3%) 차례였지요. 여성들이 남성보다 훨씬 책을 많이 산다는 건데, 실감하시나요?

이번주 소개한 <미녀, 야수에 맞서다>(사회평론)의 지은이 엘렌 스노틀랜드는 말합니다. “사상은 위험하다. 사람들을 생각하게 한다.” 수세기 동안 여자를 교육에서 배제한 까닭이죠. 지은이는 혁명가 올랭프 드 구즈의 일화를 들려줍니다. 1791년 ‘여성 인권 선언문’을 쓴 그는 프랑스대혁명의 자유·평등·박애가 남성만의 것이라고 여겼습니다. 자코뱅당이 맹렬한 ‘혁명 여성들’을 멸시하고 철저히 배신했기 때문입니다. 여자들의 책 읽기까지 금하려고 했을 정도였으니까요. 여성 시민권을 주창한 죄로 사형에 처해진 올랭프 드 구즈. 그는 단두대에 올라 여성들에게 마지막으로 외칩니다. “그대들은 혁명에서 어떤 이득을 얻었습니까? 더욱 적나라한 모욕과 경멸을 얻었을 뿐입니다.”

<미녀…>의 지은이는 미인 대회 우승자만이 아니라 책벌레 여성, 저평가 되는 여성 지식인 등 모든 여성이 ‘보이고 들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지금도 비슷합니다. 훗날 역사 속에 세월호 ‘골든타임’에 올림머리를 하고 있는 박근혜 대통령의 모습만 ‘여성’이라고 기술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박 대통령, 최순실 일가뿐만 아니라 신문 보는 여성, 책 읽는 여성, 광장에 선 성난 여성들의 모습이 모두 보였으면 좋겠습니다. 분노하는 여자들의 목소리가 오랫동안 남아 메아리쳤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올랭프 드 구즈의 말이 이렇게 되돌아오지도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대들은 광장에서 어떠한 이득을 얻었습니까?”

이유진 책지성팀장 fro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1.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큰불 난 한글박물관, 정조 편지 등 소장품 8만9천점 전부 이송 2.

큰불 난 한글박물관, 정조 편지 등 소장품 8만9천점 전부 이송

[꽁트] 마지막 변신 3.

[꽁트] 마지막 변신

우주에 간 공효진·이민호도 고전…K-드라마가 우주에서 ‘쓴맛’ 본 이유 4.

우주에 간 공효진·이민호도 고전…K-드라마가 우주에서 ‘쓴맛’ 본 이유

‘믿음’이 당신을 구원, 아니 파멸케 하리라 [.txt] 5.

‘믿음’이 당신을 구원, 아니 파멸케 하리라 [.txt]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