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숙 지음/북루덴스·1만6000원 2007년 여름, 남과 북은 “어린이 및 임산부의 영양증진과 건강이 민족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사업이라는 데 인식을 함께”하며 ‘어린이 및 임산부 지원사업 합의서’에 서명했다. 보건복지부에서 북한 업무를 맡았던 김진숙도 평양을 방문하고, 앞으로 지원할 남포산원, 남포소아병원, 대안군병원을 찾아갔다. 병원으로 기능할 기본 설비도 없었고, 건물이 낡아 리모델링하거나 신축하기로 했다. 남포시와 대안군의 6개월~6살 어린이와 임산부 등 4만7100명을 대상으로 영양식 보급계획도 수립했다. 그러나 2009년 북한의 핵실험, 2010년 천안함 사건으로 남쪽의 지원은 완전 중단됐다. 김진숙은 “다 지난 북한 얘기를 그래도 기록으로 남겨야겠다고 결심하게 만든 동기의 반 이상은 이 사업(영유아 지원) 때문”이라고 말한다. <평화의 아이들>은 남북 의료협력 16년의 기록이다. 지은이는 보건의료 협상, 북한 의료체계 등을 얘기하며 자신의 고민과 아쉬움, 앞으로의 다짐까지 내놓는다. 서울 구로동에서 노동자의 건강의료를 지원했던 약사 출신 지은이는 2001년 미국을 방문했을 때 북한 어린이들의 사진을 보고 충격을 받는다. “그 ‘고난의 행군’으로 북한의 아이들이 배고파하며 죽어가고 있을 때, 나는 아이 둘을 낳고 아이들이 배고프기 전에 젖 먹이는 일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남한의 엄마’였다.” 한국에 돌아와 민간단체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에서 일하고 2002년 북한을 첫 방문했다. 이후 북한대학원을 다니고 2006년 복지부에 채용돼 북한 의료지원 업무를 맡았다. “공직에서 제일 기억에 남는 일은 2007년 10월 2차 정상회담의 모든 과정을 지켜본 것”이었지만, 정권이 바뀐 2008년부터 정상회담 합의사항들은 금기어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올해 남북정상회담으로 “예전의 합의사항들이 다시 햇빛을 볼 수 있을 것 같아 가슴이 뛰고” 있다. 2004년 왕진가방을 내밀었을 때 북쪽 의사들의 표정이 기억에 생생하다. “어떻게 우리 마음을 알고 꼭 필요한 것들만 갖췄습네까?” “이 가방, 간편하게 메고 다닐 수 있고 아주 좋구나야!” “당장 가방 메고 우리 담당 가보고 싶구나!”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