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허균·난설헌 두 마리 학이 되어 날아간 남매

등록 2019-11-15 05:01수정 2019-11-15 20:57

오누이
허정윤 글, 주리 그림/킨더랜드·2만원

“이영차 동쪽으로 대들보 올리세./ 새벽에 봉황을 타고 요궁에 들어갔더니/ 날이 밝으면서 해가 부상 밑에서 솟아올라/ 일만 가닥 붉은 노을 바다에 비쳐 붉도다.”

킨더랜드 제공
킨더랜드 제공

허난설헌이 여덟살에 지은 산문 ‘광한전 백옥루 상량문’의 한 대목이다. 가부장 중심의 조선 중기에 여자가 글을 쓴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의 집안은 당대 대표적 사대부 가문이면서도 자유로운 가풍을 지녔고, 덕분에 난설헌은 자신의 글재주를 맘껏 펼칠 수 있었다. 그의 동생은 <홍길동전>을 지은 그 유명한 허균이다.

킨더랜드 제공
킨더랜드 제공

<오누이>는 두 남매의 절절한 이야기를 담은 그림책이다. 절절하다 함은 두 사람이 모두 비극 속에 이 세상을 떴기 때문이다. 열다섯에 시집을 간 난설헌은 밖으로 도는 남편과 글 짓는 며느리가 못마땅한 시어머니에 돌림병으로 아이를 잃는 애끊는 고통까지 겪으며 27살에 짧은 생을 마감한다. 빼어난 재능과 자유분방한 정신으로 백성을 두려워할 줄 아는 정치를 꿈꿨던 허균도 역모 혐의로 능지처참 당하고 말았다.

킨더랜드 제공
킨더랜드 제공

어린 시절 둘은 두 마리 학처럼 같은 스승 아래서 시를 짓고 공부하며 보냈다고 한다. 굴곡진 삶의 여정 속에 두 사람은 그 시절을 얼마나 떠올렸을까. <오누이>는 그런 상상 속에 못다 한 이야기를 담았다. 만듦새부터 그러하다. 책을 펼치면 왼편에는 아우를 아끼는 난설헌의 이야기가, 오른편에는 누이를 기리는 허균의 이야기가 못 부친 편지처럼 담겼다. 예스럽고 아름다운 그림이 이를 완성한다.

킨더랜드 제공
킨더랜드 제공

난설헌은 숨을 거두기 전 자신의 시를 “모두 태우라”고 당부하였지만 동생 균은 친정에 남겨뒀거나 자신이 기억하는 시를 모두 모아 <난설헌집>을 펴냈다. 동생의 그 마음이 수백 년의 시간을 지나 오늘날 우리가 그의 시 세계를 만날 수 있게 하였다. <오누이>는 아이에게 그 세계를 소개하는 좋은 출발이 될 듯하다. 지은이 허정윤은 허씨 가문의 후예라고 한다. 5살 이상.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1.

‘오징어 게임2’ 배우 이주실 별세…위암 투병 석달 만에

[꽁트] 마지막 변신 2.

[꽁트] 마지막 변신

큰불 난 한글박물관, 정조 편지 등 소장품 8만9천점 전부 이송 3.

큰불 난 한글박물관, 정조 편지 등 소장품 8만9천점 전부 이송

제30회 ‘한겨레문학상’ 공모 4.

제30회 ‘한겨레문학상’ 공모

‘믿음’이 당신을 구원, 아니 파멸케 하리라 [.txt] 5.

‘믿음’이 당신을 구원, 아니 파멸케 하리라 [.txt]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