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관심받는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등록 2020-08-07 04:59수정 2020-08-07 09:51

관종의 시대
김곡 지음/그린비·1만3000원

‘관종’(관심 종자)은 요란하게 눈길을 끄는 일부를 가리키는 말이라 생각했다. “‘관종’은 관심이 곧 가치이자 생명력이 되어 버린 이 시대 자체의 캐릭터, 이 사회 전체의 캐릭터를 지시한다”며 “우리 모두 관종이다”라는 서문의 문장을 읽기 전까지는. “관종은 이 시대를 지배하는 하나의 ‘증상’”이라는데, 나라고 예외일 수 있을까.

<고갈> <방독피> <자본당 선언> 등을 만들어온 영화감독 김곡은 <관종의 시대>에서 ‘관종’이란 존재를 철학적으로 사유했다. 간명한 문장으로 이루어졌지만, 여느 철학서가 그렇듯 이 책 역시 읽어내기가 녹록하지 않다. ‘셀프’라는 자아를 지닌 관종은 과잉자기성애로 충만해 있으며, 편집증과 노출증을 지니고, 타자를 소거한 채 관심을 갈망한다고 책은 정의한다. 지난 세기의 존재론으론 설명할 수 없는, ‘대상’을 가지지 않기에 ‘존재’하지조차 않는다는 ‘관종’을 이해하려면 앞선 문장들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 각주에 등장하는 프로이트, 사르트르, 니체 등의 이름과 각종 분석자료가 ‘관종’을 깊이 파고드는 데 동원되기에 책은 좀 더 묵직해진다.

인터넷이란 공간에서 갖가지 에스엔에스(SNS)를 통해 일상을 전시하고, 링크된 글들에 ‘좋아요’를 누르고, 나와 다른 의견을 손쉽게 차단해본 경험이 있다면 책이 진단한 ‘관종’의 모습에서 자신을 완전히 분리해내긴 어렵다. 무심히 한 행동에 나르시시즘에 취해 있는 자신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자각을 하게 될 때 책은 자꾸만 멈춰 서도록 만든다. 수많은 에스엔에스 속 ‘과잉’된 자아와 ‘소거’된 타자를 확인할수록 깊어지는 허무의 감정을 살펴보고, ‘관종의 시대’를 넘어 회복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보게 한다. 강경은 기자 free1925@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조선의 여성 변호사, 왕에 맞서는 왕후…달라진 사극 속 여성들 1.

조선의 여성 변호사, 왕에 맞서는 왕후…달라진 사극 속 여성들

KBS, 병산서원 ‘못질 훼손’ 촬영분 폐기…사과 예정 2.

KBS, 병산서원 ‘못질 훼손’ 촬영분 폐기…사과 예정

63살 데미 무어의 세월을 질투하다 3.

63살 데미 무어의 세월을 질투하다

김건희의 종묘 무단 차담회, 국가유산청이 사과문 냈다 4.

김건희의 종묘 무단 차담회, 국가유산청이 사과문 냈다

“김건희가 박찬욱에게, 날 주인공으로 영화 한편 어때요 했다더라” 5.

“김건희가 박찬욱에게, 날 주인공으로 영화 한편 어때요 했다더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