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콘텐츠 공룡’의 한국 상륙일이 확정되면서, 어떤 지각변동을 일으킬지를 두고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는 자사 오티티 ‘디즈니플러스(+)’가 오는 11월12일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인기 콘텐츠를 잔뜩 거느려 ‘콘텐츠 공룡’으로 불리는 신흥 오티티 강자다. 2019년 출범 이후 전세계 1억1600만명 넘는 이용자를 확보해 업계 1위 넷플릭스(2억918만명)를 빠른 속도로 뒤쫓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이용자도 <블랙 위도우> <어벤져스> 등 마블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 전편, <겨울왕국> <토이 스토리> 등 디즈니·픽사 애니메이션은 물론 <로키> <완다비전> <팔콘과 윈터 솔져> <만달로리안> 등 디즈니플러스 오리지널 시리즈까지 무제한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월 이용료는 9900원으로 책정됐다. 연간 이용료 9만9000원을 한꺼번에 내면 월 8250원까지 떨어진다. 아이디 하나로 4명까지 동시접속이 가능해, 가격 경쟁력이 충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내 시장 1위 넷플릭스의 월 이용료는 9500원(동시접속 1명), 1만2000원(동시접속 2명), 1만4500원(동시접속 4명) 세가지다.
콘텐츠와 가격 경쟁력을 모두 갖춘 도전자의 등장에 가장 긴장하는 쪽은 넷플릭스다. 가뜩이나 성장이 주춤하는 상황에서 기존 이용자 이탈까지 걱정해야 할 처지다. 넷플릭스의 올해 2분기 실적 발표를 보면, 이 기간 전세계 신규 유료 가입자 수는 154만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10만명에 견줘 85%나 급감한 수치다. 한국 상황만 보면, 넷플릭스의 월간 순방문자(MAU·닐슨코리안클릭 기준)는 지난 1월 895만명을 정점으로 6월에는 790만명까지 감소했다. 상반기에만 100만명 넘게 빠진 것이다.
넷플릭스는 최근 <킹덤: 아신전> <디피> 등 한국에서 만든 오리지널 시리즈를 잇따라 선보이며 위기 돌파를 꾀하고 있다. 이정재 주연 <오징어 게임>(9월17일), <부산행> 연상호 감독 연출한 <지옥>(하반기 중)도 공개할 예정이다.
국내 시장 2~3위인 토종 오티티 웨이브와 티빙도 긴장하긴 마찬가지다.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막대한 돈을 들이며 발돋움할 기회를 노리고 있지만, 반갑지 않은 신흥 강자의 등장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