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국지사 민영환이 생전 입었던 서구식 군복. 높이 치솟은 술장식을 단 예식모자가 딸려있다. 문화재청 제공
1905년 11월 일제가 대한제국(조선왕조)의 외교권을 빼앗은 을사늑약을 맺자 스스로 목숨을 끊어 항거한 당시 황실 시종무관장 민영환(1861~1905)의 서구식 군복이 나라의 공식 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15일 민영환의 옛 군복에 대해 국가문화재 등록을 예고했다고 밝혔다. 민영환의 군복은 1897∼1900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윗옷과 바지, 모자, 견장 등 모두 14건 17점의 복식과 착용물로 이뤄졌다.
조선에서 서구식 군복 제도는 1895년 육군복 종류와 복장별 품목 등을 정한 ‘육군복장규칙’에 따라 처음 시행됐는데, 민영환의 군복 유물은 이후 1897년과 1900년 개정된 ‘육군장졸복장제식’의 규정에 맞춰 제작됐다. 예복을 입을 때 맞춰 쓰는 모자인 예모, 제복의 윗옷인 대례의, 어깨에 붙이는 소례 견장 등 당대 군복 규정상의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으며 옷 위에 다는 훈장의 품목인 대수까지 포함돼 있다. 문화재청 쪽은 “민영환 후손이 지난 2005년 순국 100주년을 맞아 고려대 박물관에 기증한 유물로 소장 경위가 명백하고 복식사적 가치도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이 군복 유물들은 30일간 각계 의견을 듣고 문화재위원회 최종 심의를 거쳐 등록이 확정된다.
문화재청은 이와 함께 경기도 안성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기념성당을 국가등록문화재로 확정했다. 조선인 최초의 천주교 성직자가 된 뒤 순교한 김대건 신부(1821∼1846)를 기리기 위해 1928년 세운 성당으로 원형이 상당 부분 유지돼왔고, 건물 앞 묘역도 성당 공간의 상징성을 잘 드러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