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특색있는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1차 법정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첫 예비주자가 대구광역시, 경기 부천시, 충북 청주시, 경북 포항시, 경남 김해시 등 10곳으로 정해졌다. 문화도시란 지역별로 특색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문화 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정된 도시를 말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도시심의위원회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문화도시 지정을 신청한 지자체 19 곳 중 10곳의 문화도시 조성계획을 승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심의위원회는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지정되는 문화도시의 최초 후보 도시를 가린다는 점에서 각 지자체가 향후 특색 있는 문화도시의 선도모델로 발전할 가능성과 그간의 준비과정을 비중 있게 검토했다”고 말했다.
문화도시 예비 후보들의 면면을 보면 경기도 부천·강원도 원주·충북 청주·전북 남원은 열린문화학교나 페스티벌 등 시민들이 중심이 된 문화도시를 지향하는 조성계획을 담았다. 대구광역시·충남 천안은 문화공간 발굴 등 문화생태계를 형성해 도시를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경북 포항은 철강 산업 쇠퇴와 지진을 겪은 지역주민들의 일상을 문화예술을 통해 다시 발전하겠다는 비전을 담았고, 경남 김해는 고대국가 가야의 문화원형과 가치를 미래로 확장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제주 서귀포·부산 영도는 도시 고유의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문화를 활성화한다는 구상을 담았다.
문화도시 조성계획을 승인받은 지자체 10곳은 앞으로 1년간 예비사업을 추진한 뒤 내년 말경 문화도시심의위원회의 예비사업 추진실적 평가와 심의를 거쳐 문체부로부터 문화도시 지정을 받는다. 문화도시는 복수의 도시가 지정될 수 있으며, 향후 5년간 관계부처로부터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받아 문화도시 사업을 펼칠 수 있다. 김미영 기자
instyl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