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한동원의 영화감별사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신세계’ 이후 7년 만에 호흡
‘백정’ 이정재가 쫓는 황정민
캐릭터 풀어가는 ‘경제적’ 묘사
‘퉁치기’ 아닌 전략으로 기능
속도감과 극단적 슬로모션 공존
인상적 추격액션이 서사 떠받쳐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신세계’ 이후 7년 만에 호흡
‘백정’ 이정재가 쫓는 황정민
캐릭터 풀어가는 ‘경제적’ 묘사
‘퉁치기’ 아닌 전략으로 기능
속도감과 극단적 슬로모션 공존
인상적 추격액션이 서사 떠받쳐
![앞으로는 ‘장기밀매조직이 딸에게 손을 대기 전에’라는 절박한 시한을 쫓아야 하고, 뒤로는 ‘무적무패의 도륙자 레이(이정재)의 추격’을 따돌려야 하는 사면초가에 주인공 인남(황정민)은 갇힌다. 씨제이(CJ)엔터테인먼트 제공 앞으로는 ‘장기밀매조직이 딸에게 손을 대기 전에’라는 절박한 시한을 쫓아야 하고, 뒤로는 ‘무적무패의 도륙자 레이(이정재)의 추격’을 따돌려야 하는 사면초가에 주인공 인남(황정민)은 갇힌다. 씨제이(CJ)엔터테인먼트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647/imgdb/original/2020/0807/20200807502425.jpg)
앞으로는 ‘장기밀매조직이 딸에게 손을 대기 전에’라는 절박한 시한을 쫓아야 하고, 뒤로는 ‘무적무패의 도륙자 레이(이정재)의 추격’을 따돌려야 하는 사면초가에 주인공 인남(황정민)은 갇힌다. 씨제이(CJ)엔터테인먼트 제공
딸이 끌려갔다, 태국 장기밀매조직에 <칼리토>를 위시하여 <글로리아>(1980), <레옹>, <히트> 등등의 영화들이 주마등처럼 스쳐가는 위 줄거리에 ‘추격’이 등장하는 빈도만으로도 충분히 짐작하겠지만, 영화는 추격액션임을 명백하게 표방하고 들어간다. 게다가 영화는 ①인남의 딸 납치범 추격, 그리고 ②레이의 인남 추격(이라기보다는 사냥)이라는 이중 추격의 형국을 취하고 있다. 이를 주인공 인남 쪽의 입장만 떼어놓고 본다면, 앞으로는 ‘장기밀매조직이 딸에게 손을 대기 전에’라는 절박한 시한을 쫓아야 하고, 뒤로는 ‘무적무패의 도륙자 레이의 추격’을 따돌려야 하는, 앞에서 끌고 뒤에서 미는 형국인바 <다만 악…>의 추격전은 두 개의 동력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 황정민-이정재 두 배우의 ‘캐릭터 스와프’도 <다만 악…>이 보유한 재미있는 설정 중 하나다. 사실 2013년 <신세계> 이후 7년 만에 황정민-이정재 두 배우의 조합이 다시 성사되었다는 점은, 떼좀비와 떼잠수함만큼이나 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만한 요소일 것인데, 거기에서 한 점 더 나아가 두 배우가 <신세계>에서 연기했던 캐릭터를 거의 서로 맞바꾸는 듯한 형국의 캐릭터를 연기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검은 정장과 흰 셔츠를 흡사 유니폼인 듯 내내 입고 있는 ‘인남’과, 가상현실(VR) 헤드셋을 방불케 하는 선글라스와 그에 못잖게 화려한 순백의 롱코트(그것은 <영웅본색>의 ‘아성’ 캐릭터를 곧바로 떠올리게 한다) 및 하와이안 호피무늬라 명명될 법한 한국 조폭 고유의 화려한 패턴이 프린트된 셔츠를 입은 채 액션하는 ‘레이’만 봐도 능히 짐작된다. 자, 그러니까 크게 보아 <다만 악…>의 가장 핵심적인 두 축은 ①추격액션의 속도감과 ②캐스팅 및 캐릭터의 힘, 이 두 가지일 텐데, 결과부터 말하면 이 양대 축은 기대된 바 기능성을 충분히 발휘해주고 있다. <추격자>, <황해>, <내가 살인범이다> 등등의 영화를 각색해온 경력을 가진 홍원찬 감독이 쓴 오리지널 시나리오는 추격액션의 속도감을 떨어뜨리는 요소들을 최대한 쳐내고 효과적으로 압축하고 있다. 비밀요원이었던 인남의 현재와 과거, 옛 애인과의 지난날, 그녀가 인남의 아이를 낳고 방콕에 가게 된 사연, 레이의 개인사 등등은 아예 생략돼 있거나 한 장면이나 대사 몇 줄로 제시되고 끝난다. 예컨대 인남의 공허와 고독은 가구 한 점 없는 어두운 방에 웅크리고 누운 인남의 모습으로, 레이가 ‘백정’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 소싯적 사연은 도륙당할 사람을 묶어놓고 읊조리는 대사로 표현되고 등등. 그 정도로 되는가? 된다. 추격액션에 시동을 걸고 그 추력을 유지하는 데 그 정도면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야말로 <다만 악…>이 선보인 가장 신묘한 기술일 것이다.
![씨제이(CJ)엔터테인먼트 제공 씨제이(CJ)엔터테인먼트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626/imgdb/original/2020/0807/20200807502424.jpg)
씨제이(CJ)엔터테인먼트 제공
악인 수명 30년 단축시킨 막판 수다 이런 신기한 설득력은 어디에서 생기는가? 장르의 작동 방식에 충실한 시나리오, 너무 잘게 쳐지지 않은 컷으로 육탄감과 리듬감을 공존시키고 있는 액션 장면(특히 초고속촬영=극단적 슬로모션 장면들이 남기는 인상은 매우 강하다) 등등도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배우들의 연기와 존재감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겠다. 황정민-이정재 두 배우의 연기는 <신세계>에서보다 오히려 이 영화에서 서로 더 잘 맞는 옷을 입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물론 <신세계>가 이 영화보다 나중에 나왔더라면 그에 대해서도 역시 같은 느낌이었을 것이지만) 거기에 인남의 유일한 조력자이자 영화의 유일한 윤활유인 트랜스젠더 ‘유이’ 역을 연기한 박정민은, 그의 출연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관람한다면 박정민임을 알아차리지 못할 수도 있겠다 싶을 정도다. 너무 누르면 시종 쇳소리만 가득한 뻑뻑한 영화가 되었을 것이고, 반대로 너무 과해지면 전체의 결을 해치며 따로 놀았을 이 캐릭터는 박정민의 명민한 연기 덕분에 적절한 밸런스를 유지한 채 ‘트랜스젠더’라는 전형의 수면 위로 그 아래에 잠겨 있는 ‘사람’을 슬쩍 밀어 올리는 데까지 나아간다. 지면 관계로 자세히 논하지는 못하겠지만, 종종 크리스토퍼 도일이 촬영한 왕가위(왕자웨이) 감독의 대표작들을 언뜻언뜻 떠올리게 하면서도 자신만의 시각적 지문을 뚜렷하게 남기는(예컨대 ‘인천 부두의 마지막 석양’ 장면이라든지, ‘뒷골목을 나서는 인남 부녀의 실루엣’ 장면) 홍경표 촬영감독의 촬영, 그리고 정서와 긴박감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모그의 음악 또한 이 영화의 설득력을 만들어내는, 못지않게 핵심적인 성분이겠다. 물론 흠도 많다. 앞서도 말했듯 주인공들이 차츰 방탄화 현상을 보이기 시작하는 중반(빗발치는 모든 총알이 피해 간다), 그리고 본격 불사 좀비화 현상을 보이는 후반(총상도 자상도 수류탄 폭발도 모두 무위로 돌린다)으로 넘어가면서 영화는 초반의 밀도를 상당 부분 상실한다.(이하 스포일러 있습니다) 특히 차창 앞유리에 거대 구멍을 만든 뒤 그 안으로 날아 들어가는 슬로모션은 그 자체로는 매우 기발무쌍한 결정타적 장면이었으나, 전체적으로 묵직한 영화의 톤에서 미루어볼 때 과유불급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또 장기밀매용 아동들을 감금한 장소는, 주인공들을 위한 액션의 장을 열어주기 위함이라는 것은 충분히 알 수 있으나, 그래도 명색이 조폭들의 핵심 시설물인데 지키는 자 거의 없이 너무 무주공산스럽다. 종종 주인공들의 운명의 향방을 가를 정도의 핵심 아이템으로 거듭나는 수류탄이 자아내는 은밀한 코믹함은 물론이려니와, 무엇보다도 이런 탄식을 끝내 피할 수 없다. 전세계 나쁜 놈들의 평균수명을 최소한 30년은 단축시킨 막판 수다의 오류는 대체 언제가 되어야 종식될 것인가…. 하지만 이런 흠들조차 즐길 수 있게 할 만큼 <다만 악…>의 장르적 흡인력은 강하다. 그런 강력한 속도감을 극장에서 맛본 것이 언제인가 싶다. 감독의 다음 작품이 궁금해지는 영화를 보게 된 것 또한 꽤 오랜만이다. 그만하면 충분하지 싶다. 코로나와 폭우와 폭염이 지배하는 이 엄혹한 시국이라면. 대단한 영화적 구원씩이나 되지 않아도 좋다.
▶ 한동원 영화평론가. 병아리감별사 업무의 핵심이 병아리 암수의 엄정한 구분에 있듯, 영화감별사(평론가도 비평가도 아닌 감별사)의 업무의 핵심은 그래서 영화를 보라는 거야, 말라는 거야에 대한 엄정한 판별 기준을 독자들께 제공함에 있다는 것이 이 코너의 애초 취지입니다. 뭐, 제목이나 취지나 호칭 같은 것이야 어찌 되었든, 독자 여러분의 즐거운 영화보기에 극미량이나마 보탬이 되자는 생각만큼은 놓치지 않으려 합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