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300억짜리 CG액션 ‘카터’, 이것은 게임인가 영화인가

등록 2022-08-19 08:00수정 2022-08-19 08:50

정병길 감독 넷플릭스 영화
인질 구조하는 영웅의 액션
CG 지나치게 써 슈퍼히어로화
되레 관객의 공감 빼앗아버려
넷플릭스 영화 <카터> 스틸컷.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영화 <카터> 스틸컷. 넷플릭스 제공

큰 기대를 걸었다. 지난 5일 공개된 정병길 감독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카터> 이야기다. 전작 <악녀>(2017)는 꽤 흥미로운 데가 있었다. 좋은 영화라고 생각하진 않았다. 문제는 정 감독이 각본을 정말 못 쓴다는 것이다. 아니다. 각본을 못 쓰는 게 아니다. 그는 액션을 위해 각본을 희생한다. 그의 머릿속에는 관객을 놀라게 할 과장된 액션 아이디어로 가득하다. 이야기는 부차적이다. 그런데도 <악녀>를 즐겼냐고? 한국 영화에서 한번도 보지 못한 과잉의 액션이 넘치는 괴작이었기 때문이다. 종종 우리는 새로운 뭔가를 보고 싶어 한다.

<악녀>는 새로웠다. 숙희(김옥빈)가 홀로 70여명의 조직원을 몰살시키는 오프닝은 야심적이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1인칭으로 진행되는 러시아 영화 <하드코어 헨리>를 <올드보이>의 장도리 복도 시퀀스와 결합하면 나올 법한 장면이었다. 오토바이를 타고 터널을 질주하며 벌이는 액션 시퀀스는 할리우드 영화 <존 윅 3: 파라벨룸>에서 오마주 되기도 했다. 그러니 <악녀> 제작비 47억원을 훌쩍 뛰어넘는 300억원짜리 <카터>에 내가 얼마나 많은 기대를 했을지 생각해보시라.

정병길 감독의 액션 영화 &lt;악녀&gt; 스틸컷. 뉴 제공
정병길 감독의 액션 영화 <악녀> 스틸컷. 뉴 제공

<카터>는 기억을 잃은 채 깨어난 카터(주원)가 귀에 장착된 장치에서 나오는 목소리에 따라 인질을 구조하는 과정을 그린다. 비무장지대(DMZ)에서 나온 바이러스로 세상은 망가졌다. 거기에 미국 중앙정보국(CIA), 국정원, 북한군 등 다양한 세력이 얽혀든다. 물론 여기서도 이야기는 딱히 중요하지 않다. 정 감독은 그저 300억원이라는 압도적 제작비로 온갖 과잉된 액션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데만 집중한다.

그게 문제다. 제작비가 문제다. 제작비가 늘어나자 정 감독은 많은 장면을 시지(CG)의 힘을 빌려 완성했다. <악녀>에도 시지는 많았다. 하지만 <악녀>는 감독과 배우와 스태프의 땀이 느껴지는 영화였다. <카터>는 많은 장면을 그린스크린을 활용해 시지로 매만져 완성했다. 그러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주인공이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일종의 슈퍼히어로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넷플릭스 영화 &lt;그레이 맨&gt; 스틸컷.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영화 <그레이 맨> 스틸컷. 넷플릭스 제공

이건 시지를 지나치게 활용하는 최근 액션 영화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카터> 공개 직전 넷플릭스는 한화로 2400억원을 들인 <그레이 맨>을 공개했다.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루소 형제가 연출하고 라이언 고슬링이 주연한 영화다. 루소 형제는 마치 마블 영화를 만들듯 <그레이 맨>을 만들었다. 고슬링이 연기한 캐릭터는 슈퍼히어로가 아니다. 인간이다. 그러나 <그레이 맨> 속 그는 그린스크린으로 촬영해 실사 배경과 합성한 마블스러운 무대에서 중력을 거스르는 액션을 펼친다. 근사한가? 그럴 수 있다. 재미있는가? 그럴 리가.

우리가 액션 영화를 즐기는 이유 중 하나는 주인공의 고통에 우리를 대입시킬 수 있어서다. <다이 하드>를 보면서 우리는 브루스 윌리스가 육체적 한계를 느끼며 지친 얼굴로 벌이는 진짜 액션의 힘을 느낀다. 요즘 액션 영화는 주인공들을 중력의 법칙마저 위배하는 슈퍼히어로로 만들어버린다. 관객이 실체적으로 느껴야 할 법한 타격감도, 충돌감도, 위기감도 없다. 그냥 게임이다.

넷플릭스 영화 &lt;카터&gt; 스틸컷.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영화 <카터> 스틸컷. 넷플릭스 제공

우리는 게임을 하면서 캐릭터가 죽는 것에 별 감정의 파고를 느끼지 못한다. 죽으면 다시 살려 플레이하면 그만이니까. <카터>와 <그레이 맨>은 절대 죽지 않는 캐릭터가 마지막 스테이지까지 꾸역꾸역 달려가는 걸 조이스틱도 없이 지켜봐야 하는 괴로운 경험이다. 좋은 액션 영화는 잘 짜인 합과 편집만으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다. 시지 거품을 제거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계속해서 반복되는 게임만 스크린으로 지켜보게 될 것이다. 그것이 미래의 액션이라면, 액션은 차라리 과거로 돌아가야 한다.

김도훈 작가·영화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63살 데미 무어의 세월을 질투하다 1.

63살 데미 무어의 세월을 질투하다

밴드 인기 끌더니…록 음악 스트리밍도 껑충 2.

밴드 인기 끌더니…록 음악 스트리밍도 껑충

천주교·불교 신속한 내란 비판...최대 개신교 조직 한국교총은 ‘침묵’ 3.

천주교·불교 신속한 내란 비판...최대 개신교 조직 한국교총은 ‘침묵’

지난해 가장 많이 들은 ‘팝’ 2위가 뉴진스 슈퍼내추럴이라고? 4.

지난해 가장 많이 들은 ‘팝’ 2위가 뉴진스 슈퍼내추럴이라고?

‘오징어 게임 2’ 박성훈 “트랜스젠더 희화화하지 말자는 생각 먼저” 5.

‘오징어 게임 2’ 박성훈 “트랜스젠더 희화화하지 말자는 생각 먼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