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인같은 ‘짝귀’ 기대했는데
감독이 ‘악한 이미지’ 포착 제안
사람관찰 좋아해 배역분석 도움
감독이 ‘악한 이미지’ 포착 제안
사람관찰 좋아해 배역분석 도움
‘타짜’ 화제의 악역 김윤석
9월 28일 개봉한 영화 〈타짜〉는 ‘최고 경지에 오른 전문 도박사’ 4인방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다. 하지만 시사회가 끝난 뒤 조역 ‘아귀’였던 김윤석(39·사진)의 호연이 주연에 버금가는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사실 전 생김새로 보나 뭘로 보나 ‘당연히’ 도인의 길을 가는 타짜 ‘짝귀’ 역이 올 줄 알았어요.(웃음) 그런데 최동훈 감독이 뜻밖에 저한테서 사악한 아귀를 본 거죠.”
아귀는 화투판에서도 정평이 난 최고수 타짜로, 상대방 타짜의 ‘기술’을 잡아내는 즉시 손목을 잘라버리는 잔인한 인물이다. “아귀는 정신적으로 아예 근처에 가기가 꺼려지는 인간이죠. 도박판이라는 게 자칫 낭만적으로 보일 수도 있어요. 그 낭만의 정점에 인간성을 상실한 끔찍한 존재(아귀)가 도사리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게 중요했지요.”
한국방송 주말드라마 〈인생이여 고마워요〉 속 ‘착한 남편’을 떠올린다면, 최 감독이 아귀 역으로 김윤석을 떠올린 건 신기에 가까운 캐스팅 같다. 하지만 그는 최근 개봉한 〈천하장사 마돈나〉에서도 상종하기 싫은 알코올중독자 아버지 역을 눈부시게 소화해냈다. 또 문화방송의 아침드라마 〈있을 때 잘해〉에서도 인간 말종 같은 남편 역으로 매일 아침 시청자들의 속을 훌러덩 뒤집어 놓는 중이다.
“존 말코비치가 이런 말을 했어요. ‘내가 악역을 잘하는 것은 그런 사람들을 미워하고 증오해서다’라고. 학교 다닐 때도 왜 그렇잖아요, 제일 싫은 선생님 흉내를 제일 잘 내게 되고…싫어하면 싫어할수록 관심이 더 가고, 그래서 캐릭터 분석도 잘하게 되는 것 같아요.”
‘악역’이라는 점 외에 그의 최근 영화 두 편을 모두 본 관객들은 그의 유창한 사투리 구사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부산 태생’이라는 점에서 〈천하장사…〉 속 경상도 사투리는 그러려니 할 수 있지만, 〈타짜〉 속 전라도 사투리마저 자연스럽다는 데는 모두들 혀를 내두른다. “배우 박철민한테서 배운 거예요. 근데 도박꾼은 전국을 돌아다니는 보따리장수거든요. 100% 전라도 토박이 말을 쓰는 것보다 전라도 뉘앙스에 표준어를 살짝 얹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았어요.”
다음번에 또 악역이 들어오면 하겠느냐는 질문을 던져봤다. 그는 “이제 남들이 다 아는 제 이미지를 가지고 캐스팅하는 머리 나쁜 감독의 작품은 안 하겠지요.(웃음) 제가 지금껏 했던 악역들과 다른 저를 떠올리는 감독과 작업해보고 싶어요.”
글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사진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