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시나리오 공개시장 키워서 제2의 최고은 사태 막아야”

등록 2011-04-21 19:32수정 2011-04-21 22:28

김희정 감독
김희정 감독
‘청포도 사탕’ 칸 인정 받았지만
국내선 제작비 4억원 마련 끙끙
공개설명회로 받은 1천만원 큰힘
‘피치앤캐치’ 1등 김희정 감독
제작비 마련 분투기

집 앞 호수에 배를 띄워 새소리를 들을 수 있는 아름다운 시골마을이었다. 김희정(41) 감독은 2009년 9~11월 3개월간, 프랑스 노르망디에 있는 ‘물랑예술가의 집’에 머물며 시나리오 <청포도 사탕>을 썼다. 왕복항공권, 숙식비용뿐 아니라, 한달에 1300유로(약 200만원)의 용돈까지 지원받았다. 프랑스 칸 영화제가 운영하는 신예 감독 육성 프로그램 ‘레지던스 드 페스티벌’ 덕이었다. 각국 감독들을 대상으로 시나리오 구상에 대해 심사한 뒤 뽑힌 이들에게 집필에만 몰두하도록 후원하는 제도다.

시나리오를 안고 돌아온 건 그해 12월. “이제 한국에 가서 영화를 만들어보자”며 귀국해 국내 투자자들에게 시나리오를 돌렸지만, 선뜻 나선 곳이 없었다. 익히 보던 ‘충무로판’ 상업영화가 아닌 탓이었다. 성수대교 붕괴로 친구를 잃은 여중생들이 서른살이 돼 다시 만나 죽은 친구 언니 집으로 찾아가 과거의 진실과 마주하는 이 작품은 시대적 아픔을 간직한 여성들의 내면을 세밀하게 쫓아간다. 칸 영화제가 먼저 알아보고 전폭 지원한 시나리오였지만, 정작 국내에선 선보일 기회조차 얻지 못한 것이다.

지난 19일 서울 상암동 첨단산업센터의 작은 사무실에서 만난 김 감독은 “창문도 없는 방”이라며 멋쩍게 웃었다. 그는 “인지도가 높은 감독이 아니어서 ‘이런 작품이 있다’고 세상에 알리기가 참 쉽지 않았다”고 고충을 털어놓았다. 폴란드 우치국립영화학교를 나온 그는 2007년 추상미, 이세영 등이 출연한 영화 <열세살, 수아>를 연출한 바 있다. <열세살, 수아>도 2005년 칸 영화제 레지던스 지원작으로 선정돼 다섯달간 파리 몽마르트르 언덕 근처 아파트와 월 900유로 생활비 등을 지원받으며 쓴 작품이다.

귀국 뒤 1년 남짓 투자자를 찾지 못한 그가 결국 문을 두드린 곳은 지난 14일 폐막한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피치 앤 캐치’ 프로그램이었다. 기성 감독, 영화사 관계자 등 심사위원과 관객 앞에서 시나리오 내용과 예상 제작비 등을 설명하고, 투자자들과도 만나는 신예 감독들의 공개 경쟁 제도다.

“마치 평창 겨울올림픽을 유치하는 심경으로 한달여간 공개 피칭(설명회)을 준비했다”는 김 감독은 “작품을 어떻게 만들지 고민해야 하는 시간에 ‘왜 내가 이런 걸 준비하나’란 생각도 했지만 내 작품의 가능성을 알릴 수 있는 통로인데다, 솔직히 밥도 먹고 시나리오 수정·개발도 할 수 있는 1000만원이 꼭 필요했다. 우리에겐 적지 않은 돈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나리오가 탄탄하다”는 평과 함께 극영화 부문 1등작으로 뽑혀 기획개발비 1000만원을 따냈다.

김 감독은 신예 감독과 작가들을 위해 시나리오 집필에 필요한 기획개발비 지원과 작품을 소개할 수 있는 오픈마켓이 더 활성화돼야 한다고 했다. 대형 투자자들이 “이 아이템 괜찮은데 한번 진행해 보자”고 하고도 작가들에게 최소한의 비용도 주지 않는 관행이 반복되면 생활고 등으로 숨진 최고은 작가의 비극이 또 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지원을 끊었다가 올해 복원할 예정인 영화진흥위원회의 시나리오 기획개발비 사업도 한해 40편 남짓 정도만 주는 예산 8억여원으론 부족하다는 영화계 여론이 높다.

김 감독은 “생활비 담보가 되지 않은 감독과 작가들이 자기 돈 들여가며 작품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신인감독들에게 개발비를 지원하고 투자자도 만날 수 있는 공개 피칭 행사를 새로 만들거나,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피치 앤 캐치’ 같은 기존 행사에 비용을 후원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게 그의 생각이었다. 7월부터 촬영하는 것이 목표인 <청포도 사탕>은 순제작비 5억원을 예상하고 있지만, 아직 4억원을 마련하지 못했다. 김 감독은 “젊은 여성들 내면을 다룬 이 영화에 관객도 많이 들 것 같은데…”라고 웃으며, “아직 문화와 장르의 다양성이 부족한 것 같다”며 아쉬움을 내비쳤다. 글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사진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2.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3.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해뜰날’ ‘네박자’ 가수 송대관 별세 4.

‘해뜰날’ ‘네박자’ 가수 송대관 별세

책을 읽다가 밀리터리 프레스를 하는 이유는 [.txt] 5.

책을 읽다가 밀리터리 프레스를 하는 이유는 [.txt]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