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데뷔 10년 이승기 첫 영화로 로맨틱 코미디 택한 이유

등록 2015-01-13 19:13수정 2015-01-14 10:18

‘오늘의 연애’로 10년만에 영화 데뷔
‘준수’ 배역에 ‘허당 승기’ 덧입혀
저는 후천적 연예인이에요
근육·마초성 폭발시키기보다
이승기다운 남성성이 답인 듯
‘너는 내운명’ 350만 넘고 싶어
이승기 씨.
이승기 씨.
서로가 ‘내 거 인듯, 내 거 아닌, 내 거 같은’ 18년 지기가 있다. 초등학교 때부터 ‘썸’을 타기 시작한 이 남녀는 오랜 시간 ‘소꼽 친구’를 가장한 채 서로의 곁에 머무른다. 어라? 어디선가 많이 본 설정이다. 이젠 고전이 된 <해리와 샐리가 만났을 때>부터 최근작 <러브, 로지>까지, 이 레퍼토리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흔한 연애사일지 모른다. 14일 개봉하는 영화 <오늘의 연애>는 이승기와 문채원이라는 두 대세 배우를 내세우고 요즘 세대의 언어와 놀이문화, 데이트 코스 등을 촘촘히 담아내는 방식으로 이 낯익은 설정에 새로운 포장지를 두른다. <죽어도 좋아>(2002) <너는 내 운명>(2005) <내 사랑 내 곁에>(2009)를 만든 박진표 감독의 신작이다.

노래·드라마·예능을 종횡무진하던 만능 엔터테이너 이승기(28)는 여자에게 번번이 차이는 초등학교 교사 준수 역을 맡았다. 유부남과 사랑에 빠진 예쁜 기상캐스터 현우(문채원)에겐 밥 먹자면 밥을 먹어주고, 술 먹자면 술을 먹어주며 곁을 맴도는 ‘남자 사람 친구’기도 하다. 첫 영화로 톡톡 튀는 로맨틱 코미디를 택한 이승기를 12일 만났다.

데뷔 10년만의 첫 영화에서 언제나처럼 ‘반듯한 모범생’ 역할을 맡은 이승기. 너무 안전한 선택 아니냐는 질문을 던져봤다. “욕설에 술주정까지 하는 반전 매력을 선보인 채원씨는 썩 괜찮은 옷을 입은 셈이죠. 반면 평범한 준수에게 매력을 불어넣어야 하는 제 연기는 겉으론 쉬운 선택으로 보이지만 실제론 훨씬 까다롭지 않을까요?” 그동안 시나리오가 꽤 많이 들어왔을 법 한데, 데뷔는 늦은감이 있다. 여러 분야를 병행 하다보니 시간이 없었다는 그는 <오늘의 연애>를 선택한 배경에 대해 “박진표 감독님의 <너는 내 운명>을 너무 좋아했다. 약간 신파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 안에서 사랑의 진실함과 진중함을 담아내는 스타일에 믿음이 갔다”고 설명했다. 박 감독은 캐스팅 후 원래 준수 캐릭터 위에 화도 잘 내고 질투도 폭발하고, 그러면서도 허당끼가 있는 이승기의 모습을 덧입히는 ‘맞춤형 수정’을 해줬다고 한다.

‘누난 내 여자니까’로 데뷔한 이승기는 노래 가사처럼 학창시절 연상녀를 짝사랑 해 본 경험이 있다고 했다. 하지만 경험치가 연기에 큰 도움이 되진 않더라고. “경험 만큼 연기할 수 있다면 카사노바가 역사상 최고의 멜로 연기자겠죠. 여자들은 판타지 속에선 옴므파탈을 좋아하지만 현실에선 준수 같은 순정남을 원하잖아요? 연기로든 실제로든 여자는 너무 어려워요. 하하하.”

영화 속 준수처럼 이승기도 ‘고소공포증’이 있다. 그래서 자이로드롭을 타며 고백하는 하이라이트 장면은 그에게 큰 도전이었다. “감독님이 자존심을 건드리더라고요. ‘원하면 대역을 쓰겠다. 그런데 예전에 ○○○은 모든 걸 대역 없이 해냈다’는 식으로요. 와~ 그 얘기 듣고 절대 대역 달란 말 안 나오죠. 결국 자이로드롭을 37번이나 탔어요.” 덕분에 고소공포증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단다. 이렇게 드라마든, 영화든, 예능이든 할 때마다 하나씩 배워나가며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한는 이승기는 스스로를 “후천적 연예인”이라고 표현했다.

데뷔 이래 10년 동안 따라다니는 ‘국민 남동생’칭호에서 벗어나려면 전략적으로 ‘센’작품도 해야하지 않을까? “그 고민은 데뷔 5년차 때 끝냈다”고 쿨하게 답하는 이승기. “드라마 <너희들은 포위됐다>, <구가의 서> 등에서는 선이 좀 굵은 역할을 했어요. 그런데 사람들은 여전히 ‘꽃미남’을 떠올리죠. 근육을 과시하며 마초성을 폭발시키는 것보단 이승기다운 남성성을 보여주는 게 답인 듯 해요.” 대신 데뷔 이래 똑똑한 역할은 해 본 적이 없다며 의사, 검사, 변호사 같은 전문직 연기를 꼭 해보고 싶다는 대답을 덧붙였다.

흥행성적에 대한 바램을 물었다. ‘신인 영화배우’답지 않은 솔직한 답이 돌아왔다. “손익분기점이 190만명이니 손해는 안 보는 것이 1차 목표예요. 하지만 감독님 최고 흥행작 <너는 내 운명>(350만명)을 넘어서는 게 더 큰 목표죠.” 배우로서의 포부도 가감없이 드러냈다. “저 상 욕심 많아요. 신인상 당연히 탐나죠. 40살쯤 됐을 땐 남우주연상도 받고 싶고요. 이런 건 좀 솔직해도 되지 않나요?”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사진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당신은 치매 걸릴 준비를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txt] 1.

당신은 치매 걸릴 준비를 어떻게 하고 있습니까 [.txt]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2.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3.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4.

‘해뜰날’ 가수 송대관 별세

경주 신라 왕궁 핵심은 ‘월성’ 아닌 ‘월지’에 있었다 5.

경주 신라 왕궁 핵심은 ‘월성’ 아닌 ‘월지’에 있었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