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컨드 마더. 사진 ㈜블룸즈베리리소시스리미티드 제공
‘엄마와 딸’ 영화 2편 개봉
엄마와 딸, 서로 닮은 얼굴을 하고 같고도 다른 감정에 매달려 살아간다. 잘 안다고 믿지만 가장 낯선 사이기도 하다. 자식은 부모로부터 떨어져 자신만의 길을 가야 하기 때문이다. ‘낯선 어머니’의 얼굴을 그린 영화 2편이 관객들을 찾는다. <세컨드 마더>는 낳기만 하고 키워주지 않은 어머니를, <사일런트 하트>는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는 어머니를 그렸다.
세컨드 마더
부잣집 보모로 일하는 엄마와
10년간 얼굴도 못본 딸의 갈등 ■ 낯선 엄마와의 동거 <세컨드 마더> 어머니와의 연결이 우리 마음의 근간을 이룬다. 어머니는 양육 경험을 거치며 아이와 애착을 형성한다. 부모와 자식 사이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 그런데 서로 떨어져 살아온 엄마와 아이들 사이는 어떻게 될까? 브라질 영화 <세컨드 마더>는 돈벌이 때문에 떨어져서 살아온 엄마와 딸의 이야기를 그린다. ‘제시카’(카밀라 마르질라)는 10년 동안이나 엄마 얼굴조차 보지 못했다. 딸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부잣집 하녀로 일하는 엄마 ‘발’(헤지나 카제)은 생물학적으로는 친엄마이지만 정서적으론 낯선 ‘두번째 엄마’다. 딸 제시카가 대학 입학시험을 위해 발이 일하는 집에서 함께 살게 되면서 문제가 시작된다. 카메라는 빨래를 널고, 유리창을 닦고, 요리하는 발을 따라다니며 그가 집안일을 얼마나 알뜰하게 챙기는지를 보여준다. 가사노동뿐 아니다. 고용주 아들에게 수영을 가르치고 품에 다독여 재우면서 발은 그 아들에게는 친엄마보다 더 좋은 ‘두번째 엄마’다. 그런데 일터에 나타난 딸에겐 그만큼의 정성과 돌봄을 쏟기 어렵다. 엄마는 제멋대로 구는 딸이 못마땅하고 딸은 자신보다도 고용주에게만 신경쓰는 엄마에게 배신감을 느낀다. 이 영화의 원제는 “우리 엄마 언제 와요?(Que Horas Ela Volta?)”였다. 보모 양육이 보편적인 브라질 사회에서 여자들은 남의 아이를 키우기 위해 내 아이를 남에게 맡기곤 한다. 기혼여성 경제활동 비율이 절반을 넘는 우리사회에도 곧 닥칠 일이다. 멀리 사는 엄마와 딸 사이에 쌓이는 이질감과 갈등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온전한 모성 실현을 가로막는 것은 계급이기도 하다. 처음 고용주는 ‘가족 같은’ 발에게 집 안 어디든 자유롭게 이용하길 권한다. 그러나 신분의 경계에 자유로운 발의 딸에겐 부엌 밖으로 나오지 말라고 한다. 여성 감독 안나 무일라에르트는 자신을 키워줬던 보모의 딸이 또다시 보모가 되는 모습을 보며 발의 딸 제시카는 건축가를 꿈꾸는 진취적인 여성으로 그렸다. 계급을 뛰어넘어 다른 길을 찾는 젊은 세대를 보고 싶은 감독의 희망이란다. 영화에서 엄마와 딸의 사이를 트는 것도 결국 돌봄 노동이다. 양육비를 보내주던 엄마가 나를 돌봐주는 엄마가 되면서 엄마와 딸 사이는 새로운 길을 찾는다. 12일 개봉. 12살 이상 관람가. 사일런트 하트 루게릭병 엄마의 존엄사 선택
그를 배웅하는 두 딸의 이야기
■ 엄마의 뒷모습 그린 <사일런트 하트> 루게릭 병에 걸린 엄마는 인공호흡기를 달고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이어가는 대신, 존엄하게 죽기로 결심한다. 덴마크 영화 <사일런트 하트>는 죽음을 앞둔 엄마와 그런 엄마를 배웅해야 하는 두 딸의 이야기다.
엄마 ‘에스더’(기타 뇌르비)는 점차 몸이 마비되는 상황에서 스스로 생을 마칠 결심을 했다. 두 딸은 오랜 고심 끝에 이를 받아들인 상황이다. 이들 가족이 보내는 마지막 주말의 시공간이 영화 배경이다.
두 딸은 엄마의 바람대로 저녁을 같이 먹고, 피아노를 치면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춘다. 다음날 아침엔 함께 산책길에 오르는데, 어느 호숫가 앞에 이르러 엄마는 “이곳에서 우리가 사랑을 나눠 네가 태어났단다”라고도 한다. 가족만이 줄 수 있는 행복한 시간이다.
그러나 두 딸은 엄마가 예고한 시간이 닥쳐오자 마음이 크게 흔들린다. 둘째 딸 ‘산느’(다니카 쿠르시크)는 “난 더 시간이 필요해”라며 엄마의 자살을 막으려 한다. 맏딸 ‘하이디’(파프리카 스틴)는 엄마 스스로 결정한 일이라며 동생을 설득하지만, 곧이어 자신도 엄마의 뜻에 반대하고 나선다. 두 딸은 이성과 감성을 각각 상징하는 듯하다.
영화는 엄마와 두 딸의 모습을 통해 삶과 죽음, 가족의 의미를 묻는다. 유럽에서는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가 말한 ‘자유죽음’(Freitod)이 종종 시도된다. 명료한 의식으로 자신의 죽음을 스스로 선택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번 영화는 존엄사라는 쟁점과 함께 엄마의 이런 결심을 받아들이는 자식의 이야기를 담았다. 단순히 부모를 병으로 여의는 상황과 달리, 좀더 깊은 질문이 가능해졌다.
영화는 이런 소재가 발들이기 쉬운 ‘신파’의 함정에 빠지지 않는다. 대신 차분한 사유로 관객을 이끈다. 엄마가 딸들에게 남긴 말은 삶에 대한 깊은 통찰이 돋보인다. “살아갈 날들만 생각해. 영원히 살 것처럼 말이야.”
2차례 칸 황금종려상을 받은 빌레 아우구스트 감독이 연출했다. 19일 개봉. 15살 이상 관람가.
남은주 안창현 기자 mifoco@hani.co.kr
10년간 얼굴도 못본 딸의 갈등 ■ 낯선 엄마와의 동거 <세컨드 마더> 어머니와의 연결이 우리 마음의 근간을 이룬다. 어머니는 양육 경험을 거치며 아이와 애착을 형성한다. 부모와 자식 사이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 그런데 서로 떨어져 살아온 엄마와 아이들 사이는 어떻게 될까? 브라질 영화 <세컨드 마더>는 돈벌이 때문에 떨어져서 살아온 엄마와 딸의 이야기를 그린다. ‘제시카’(카밀라 마르질라)는 10년 동안이나 엄마 얼굴조차 보지 못했다. 딸을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부잣집 하녀로 일하는 엄마 ‘발’(헤지나 카제)은 생물학적으로는 친엄마이지만 정서적으론 낯선 ‘두번째 엄마’다. 딸 제시카가 대학 입학시험을 위해 발이 일하는 집에서 함께 살게 되면서 문제가 시작된다. 카메라는 빨래를 널고, 유리창을 닦고, 요리하는 발을 따라다니며 그가 집안일을 얼마나 알뜰하게 챙기는지를 보여준다. 가사노동뿐 아니다. 고용주 아들에게 수영을 가르치고 품에 다독여 재우면서 발은 그 아들에게는 친엄마보다 더 좋은 ‘두번째 엄마’다. 그런데 일터에 나타난 딸에겐 그만큼의 정성과 돌봄을 쏟기 어렵다. 엄마는 제멋대로 구는 딸이 못마땅하고 딸은 자신보다도 고용주에게만 신경쓰는 엄마에게 배신감을 느낀다. 이 영화의 원제는 “우리 엄마 언제 와요?(Que Horas Ela Volta?)”였다. 보모 양육이 보편적인 브라질 사회에서 여자들은 남의 아이를 키우기 위해 내 아이를 남에게 맡기곤 한다. 기혼여성 경제활동 비율이 절반을 넘는 우리사회에도 곧 닥칠 일이다. 멀리 사는 엄마와 딸 사이에 쌓이는 이질감과 갈등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온전한 모성 실현을 가로막는 것은 계급이기도 하다. 처음 고용주는 ‘가족 같은’ 발에게 집 안 어디든 자유롭게 이용하길 권한다. 그러나 신분의 경계에 자유로운 발의 딸에겐 부엌 밖으로 나오지 말라고 한다. 여성 감독 안나 무일라에르트는 자신을 키워줬던 보모의 딸이 또다시 보모가 되는 모습을 보며 발의 딸 제시카는 건축가를 꿈꾸는 진취적인 여성으로 그렸다. 계급을 뛰어넘어 다른 길을 찾는 젊은 세대를 보고 싶은 감독의 희망이란다. 영화에서 엄마와 딸의 사이를 트는 것도 결국 돌봄 노동이다. 양육비를 보내주던 엄마가 나를 돌봐주는 엄마가 되면서 엄마와 딸 사이는 새로운 길을 찾는다. 12일 개봉. 12살 이상 관람가. 사일런트 하트 루게릭병 엄마의 존엄사 선택
그를 배웅하는 두 딸의 이야기
사일런트 하트. 사진 ㈜영화사 진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