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영화제 대립구도 새 국면
정기총회 열고도 재신임안 논의 안해
‘오늘 임기 종료’ 이 위원장 자동 해촉
서병수 시장, ‘선출직 개정안’ 상정 안해
총회 구성원들 “임시총회 열어 결정을”
정기총회 열고도 재신임안 논의 안해
‘오늘 임기 종료’ 이 위원장 자동 해촉
서병수 시장, ‘선출직 개정안’ 상정 안해
총회 구성원들 “임시총회 열어 결정을”
부산시가 결국 부산국제영화제 이용관 집행위원장 해촉을 강행했다. 영화인들은 부산시장이 약속대로 영화제 조직위원장에서 물러날 것을 촉구하며 부산국제영화제 정관 개정을 위한 임시 총회 소집을 요구하고 나서 이 위원장 거취를 둘러싸고 진행돼온 부산시와 영화제 쪽 사이 대립 구도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25일 오후 부산시청에서 열린 2016년도 부산국제영화제 정기 총회에서 영화제 조직위원장을 맡고 있는 서병수 부산시장은 이용관 집행위원장 재신임안을 상정하지 않은 채 회의를 마쳤다. 이로써 26일로 임기가 끝나는 이 집행위원장은 자동 해촉을 맞게 됐다. 서 시장은 또 이날 총회에서 일부 회원들이 ‘이 집행위원장 연임’과 서 시장이 약속한 ‘조직위원장 사퇴를 위한 정관 개정’을 요구하자 혼자 회의장을 빠져 나갔다. 이를 두고는 조직위원장이 독단으로 안건 상정 요구를 일축한 것은 적법성을 벗어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총회에서 영화단체연대회의 이춘연 대표, 부산지역영화학과교수협의회 주유신 대표를 비롯한 부산국제영화제 총회 구성원 106명은 “임시총회를 소집해 부산국제영화제 자율성과 독립성 확보를 위한 정관개정을 추진하라”고 공식 요구했다. 이들은 “서병수 시장이 당연직으로 역임해온 조직위원장을 사퇴할 의사를 밝힌 만큼 새 정관에선 당연직 임원을 없애고 조직위원장을 포함한 모든 임원은 총회에서 선출하도록 해야 한다. 앞으로 정관은 민간 자율의 취지에 맞게 부산국제영화제가 주도하고, 부산시의 간섭에서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임시총회 소집 요구서를 서 시장에게 전달했다.
서 시장은 총회를 시작하면서 “나는 지난주 기자회견을 통해서 조직위원장을 민간에 맡기겠다고 말했다. 가능한 한 빨리 정관 개정 절차를 거치겠다”고 말했지만, 이춘연 대표 등이 임시총회소집 요구서를 제출하자 “그렇게 급히 진행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좀더 생각해봐야겠다”며 요구서를 받지 않으려 했다. 결국 요구서는 영화제 사무국에 의해 접수됐다. 또 이준동 나우필름 대표, 김조광수 청년필름 대표 등 참석 영화인들이 “이용관 집행위원장 재신임안이 빠져 있다. 이 자리에서 연임 문제를 토론하자”고 제안했으나, 서 시장은 “이미 재임 신청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며 이 또한 거부했다. 서 시장은 ‘이용관 연임안’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자 “즉석 발의는 받지 않겠다”며 회의 종료를 선언하고 먼저 자리를 떴다.
부산국제영화제 정관은 152명 회원의 3분의 1 이상이 동의하면 조직위원장에게 임시총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고, 조직위원장이 응하지 않는다면 독자적으로 임시총회를 열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소집요구일로부터 20일 안에 총회를 소집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늦어도 3월중으론 부산국제영화제 정관 개정을 위한 임시 총회가 열려야 한다. 이용관 위원장과 함께 부산국제영화제를 이끌어 온 강수연 공동집행위원장은 “조직위원장을 사퇴하겠다는 서병수 시장의 용단에 대해 아주 고무적으로 생각한다”며 “정관개정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약속인 만큼 적극적으로 나서주시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부산시가 2014년 19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다이빙벨> 상영 중단을 요청하면서 시작된 부산시와 영화제의 갈등은 이후 영화제의 자율성과 독립성 확보를 위한 정관 개정 문제로 옮아갈 전망이다. 회원들의 요구대로 3월 임시 총회가 열린다면 조직위원장 민간 이양을 위한 정관 개정은 물론, 이용관 집행위원장을 재위촉하는 문제 또한 새롭게 제기될 가능성도 있어, 부산국제영화제 사태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부산/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부산국제영화제 ‘외압’ 논란 경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