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반갑다, 2006 이 공연…살아있는 몸의 향연!

등록 2006-01-04 16:44수정 2006-01-05 14:45


공연장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텔레비전이나 스크린의 박제된 영상 대신 ‘살아있는 몸’을 찾는 관객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공연장엔 땀과 체취와 끈적끈적한 아날로그적 감성이 있다. ‘살아있다’는 자각에 새삼 몸서리치고픈 분들이라면 꼭 들러볼 일이다.

주요 공연장들의 2006년 공연 프로그램을 미리 받아 ‘볼만한 공연’을 추려 싣는다. 대강의 계획을 바탕으로 하다보니 대형 초청 공연을 중심으로 소개하게 된 점을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 미처 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극장들은 기사에서 제외했다.

무용

파브르의 손자가 만든 ‘도발 그 자체’ - 얀 파브르의 <눈물의 역사>

상반기 최대의 문제작이 될 전망이다. ‘파브르 곤충기’로 유명한 과학자 앙리 파브르의 손자 얀 파브르(48)가 직접 안무와 무대디자인까지 맡았다. 그는 화가 겸 조각가로 출발해 시각예술과 공연예술을 접목시킨 ‘비주얼 시어터’의 창시자로 현대판 레오나르도 다빈치로 추앙받는 천재 예술가다.

10여명의 무용수가 15분동안 울음을 터뜨리는 첫 장면, 나체로 뛰어다니는 무용수들과 수백여개의 유리 그릇,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한 도발적인 표현은 관객들을 흥분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2005 아비뇽 페스티벌 초연 당시 뜨거운 찬사와 야유의 주인공이 된 바 있다. 한국,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 벨기에, 룩셈부르크 등 6개국이 공동 제작했다. 2월10~12일 예술의전당.


영화 원작자도 무릎을 친 아름다운 댄스뮤지컬 - 매튜 본 <가위손>

남성 백조의 카리스마를 창조했던 <백조의 호수>로 지난해 한국 관객들을 열광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천재 안무가 매튜 본(46)이 다시 서울에 온다. 이번엔 팀 버튼 감독의 영화 <가위손>을 댄스 뮤지컬로 각색한 작품이다. 팀 버튼은 그동안 원작의 환상을 훼손할 수 있다며 <가위손>의 각색을 반대해 왔다. 그러나 대사가 아닌 춤을 통해 이야기를 전달하는 매튜 본의 작품 세계에 매료되어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을 맡기게 됐다고 한다.

영화 시나리오 원작자 캐롤린 톰슨은 “그가 새롭게 수정한 스토리를 보자마자 ‘나는 왜 그 생각을 못 했을까’ 하며 감탄할 수밖에 없었다”며 “매튜 본은 진정 천재”라고 감탄했다. 2005년 11월 초연 이후 영국 전역 투어를 거쳐 해외 공연으로는 처음으로 한국을 찾는다. 7월12~30일 엘지아트센터.

연극

세계적 거장 레프 도진의 6시간짜리 ‘대작’
러시아 말리극장 <형제자매들>


연극계의 세계적 거장 레프 도진의 대표작 <형제자매들>을 볼 수 있게 됐다. 페드로 아브라모브(1920~83년) 원작으로 1985년 초연이래 2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언어와 시대를 초월한 깊은 울림을 전해온 6시간짜리 대작이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스탈린 정권 치하 러시아인들의 삶을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사회주의 체제와 전쟁 직후 빈곤한 삶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민중들의 강인한 생명력을 보여준다. 5월20~21일 엘지아트센터.

브레히트 서거 40주년 기념 국내 초연작
독일 만하임 국립극장 예술감독 초청 <아르투로 우이의 출세>

국립극단이 브레히트 서거 40주기 기념공연으로 준비하고 있는 국내 초연작이다. 독일 만하임 국립극장의 예술감독 헤어초크를 초청해 세계 명작의 한국화를 추구한다. 연극 본고장의 정통 연출 메소드와 국립극단 연기자들의 연기가 하모니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작품은 2001년 10월 알 파치노가 주연을 맡아 공연한 바 있으며, 오프 브로드웨이 작품으로는 처음으로 입장료를 100달러나 받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9월15~24일 국립극장.

퍼포먼스

전세계 50개국 100만명 관객이 감동한 광대들의 눈장난
슬라바 폴루닌의 <스노우쇼>

폭염에 지쳐있을 여름의 끝자락, 한바탕의 눈싸움으로 가슴 속까지 시원해지는 공연이 온다. 극장을 가득 채우는 아름다운 음악, 광대들의 사랑스런 몸짓, 배우와 관객이 하나가 되어 벌이는 눈싸움, 그리고 객석을 뒤덮는 거미줄과 눈보라는 천국과도 같은 환희의 시간을 연출한다. 세계 50여개 나라에서 100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스노우쇼>는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출발한 뒤 2004년 뉴욕에 입성해 연일 매진을 기록하고 있다. 영국 로렌스 올리비에상 및 에딘버러 페스티벌 비평가상, 러시아 골든 마스크상, 호주 로버트 헬프만상, 미국 뉴욕 드라마 데스크상 등 세계 각국의 권위있는 연극상을 휩쓴 바 있다. 캐나다 토론토 공연 당시 <버라이어티>라는 주간지는 “베케트의 쓸쓸함, 채플린의 애잔함, 스타니슬라브스키의 극적 전통 그리고 톨스토이의 철학을 모두 함축한 20세기 최고의 희극”이라고 격찬했다. 8월15~27일 엘지아트센터.

마임과 서커스를 합쳐 현대인 일상 표현 - 타이포(TYPO)

마임과 서커스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퍼포먼스. 2005년 캐나다 예술시장(아트마켓)인 시나르(Cinars)에서 가장 각광받았던 작품이다. 서커스를 활용해 현대인의 바쁜 일상을 유머와 재치로 표현했다. 두 명의 남녀 배우가 저글링, 줄타기, 마임 등을 선보인다. 5월24~28일 국립중앙박물관 극장 ‘용’.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