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여행·여가

빨랫대 걷어치우고 ‘초록숲’ 깔아봐요

등록 2005-08-10 18:02수정 2005-08-11 13:32

빨랫대 걷어치우고 ‘초록숲’ 깔아봐요
빨랫대 걷어치우고 ‘초록숲’ 깔아봐요
베란다에 ‘미니정원’ 꾸미기
숨이 턱턱 막히는 도시의 삭막함을 덜어줄 휴식 공간을 집 안에 들여 놓는 건 생각만큼 힘든 일이 아니다. <건강을 부르는 웰빙 가든>이라는 책을 내고 조경 사이트 ‘푸르네(ipurune.com)’을 운영하고 있는 이성현(36)씨가 경험을 바탕으로 실내 정원 가꾸는 방법을 알려줬다.

이씨는 32평형 아파트에 가로 4m, 세로 1.5m짜리 큰 베란다와 가로 3m, 세로 0.6m짜리 간이 베란다를 가지고 있다. 두 곳 모두 정원으로 만드는 데 200여만원이 들었다. 너무 비싸다? 맞다. 그런데 이 정도 크기 정원을 만드는 건 이씨 같은 베테랑이 아닌 초보자에겐 좀 힘겨운 일이다. 가로 1m, 세로 1m~1.5m짜리가 제격이고 비용도 20만~30만원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한다. 만드는 방법은 크거나 작거나 매한가지다. 재료는 양재동꽃시장이 아니더라도 웬만한 화원에서 살 수 있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반완제품도 나와있다. 이씨는 “실제 시공하는 건 하루면 족하지만 주제나 무엇을 어디에 둘지 계획을 꼼꼼히 세우는 게 중요하다”고 충고했다.

준비물

빨랫대 걷어치우고 ‘초록숲’ 깔아봐요
빨랫대 걷어치우고 ‘초록숲’ 깔아봐요
비닐, 부직포, 방부목, 배수판, 흙, 식물, 자갈, 장식물. 이씨는 집이 새로 지은 것이라 공기정화 능력이 좋은 잎이 넓은 식물들을 골랐다. 큰 식물은 파키라, 중간 키엔 엔젤트럽펫, 만냥금, 셀륨, 스파티필름, 지피식물로는 아이비, 산호수, 호야, 싱고늄, 꽃은 카앙코에, 안스륨을 샀다.

배수판은 가로·세로 30cm짜리(장당 2천원)가 10장 들었다. 가로·세로 1m정도 정원일 땐 4장이면 충분하다. 흙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요즘에 혼합토를 1포대(20kg)에 6천원씩 판다. 이씨는 10~15포대가 들었고, 작은 정원엔 1포대면 된다. 자갈은 1만원짜리(10kg) 4~5포대가 들었는데 작을 땐 역시 1포면 적당하다. 조각물은 집에 있는 항아리 등을 이용하면 된다.

시공

하수구가 있고, 햇빛이 잘 드는 베란다가 좋다. 수도가 있으면 물 주기가 편하다.

①베란다를 깨끗이 치우고 어떻게 꾸밀지 꼼꼼히 정해둔다. 더러워지지 않도록 거실엔 비닐을 깔아둔다.

②거실과 정원 경계에 방부목을 대고 실리콘으로 고정한다. 습기나 흙 등이 거실로 넘어오지 않도록 막는 것이다.

③나중에 정원을 철거할 때를 대비해 먼저 부직포나 비닐을 깔 수 있다. 이때 배수 구멍을 막지 않도록 물길을 내준다. 바닥이 타일이면 깔지 않아도 된다.

빨랫대 걷어치우고 ‘초록숲’ 깔아봐요
빨랫대 걷어치우고 ‘초록숲’ 깔아봐요
④배수층을 깐다. 전체 베란다가 아니라 물길에만 깔아줘도 된다. 그 위에 부직포를 덮으면 흙이 쓸려나가는 걸 막을 수 있다. 1.5m 이상 큰 키 식물을 심을 자리엔 배수층을 깔지 않는 게 좋다. 흙을 올리기 전에 전기선 등은 미리 놓아둔다.

⑤흙을 넣고 물을 부어 다진다. 보통 10cm, 큰 키식물을 심더라도 20~30cm 정도 두께면 넉넉히 식물을 지지할 수 있다. 식물의 뿌리가 덮일 정도면 된다.

⑥의자나 테이블을 둘 쉴 공간이나 동선에 맞춰 벽돌, 판석을 깐다.

⑦큰 키 식물부터 크기 순으로 심는다. 큰 식물은 주변에 마사를 골고루 뿌려 단단히 고정시켜준다. 작은 식물만 심더라도 아기자기한 분위기를 낼 수 있다.

⑨지압용 백자갈이나 바크 등을 깔 수 있다. 정원 한쪽에 의자 등을 둔다. 가족끼리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 칠판을 두는 것도 참신하다.

관리

물은 한낮보다는 아침이나 오후에 주는 게 좋다. 환기창을 열어주고, 웃자란 식물은 가지를 잘라줘야 한다. 이씨는 “아이들과 함께 식물을 가꾸면서 대화 거리도 늘었다”고 말했다. 정원 가꾸기 실례나 방법 등은 ‘푸르네’ 사이트에서 더 볼 수 있다.

글 김소민 기자 prettyso@hani.co.kr 사진 푸르네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