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한국지엠 회생을 위한 정부와 협의 원칙에 동의하고 만기가 된 한국지엠 채권의 회수를 한달 연장하면서 한국지엠 사태는 한 고비를 넘겼지만 산업은행의 실사와 신차 배정 문제, 노사 임단협 등 적잖은 난제가 기다리고 있다.
25일 정부와 산은 등의 말을 종합하면, 한국지엠에 대한 산은의 재무실사가 이르면 이번주 시작된다. 그러나 실사 범위를 어디까지 할 것인지 등을 놓고 산은과 지엠 간 초반 기싸움이 예상된다.
정부는 이번 실사를 경영 정상화 논의의 전제조건으로 여기고 있는데, 실사 과정에서 한국지엠과의 비정상적인 거래 등이 드러나고 부실 책임 문제 등이 제기되면 또 한차례 진통이 불가피해진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2대 주주인 산은의 주주감사가 지엠 쪽의 비협조로 진행되지 못한 전례가 있다”며 “지원 여부를 검토하려면 제대로 된 실사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엠이 말하고 있는 ‘신차 배정’도 확정된 것은 아니다. 지엠은 다음달 초 세계 주요 사업장에 어떤 차종을 얼마나 생산하도록 할지 배분한다. 지엠의 국외사업을 총괄하는 배리 엥글 사장은 자구안의 하나로 부평과 창원 공장에 신차 2종의 배정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지엠이 선심 쓰듯 신차 배정 카드를 꺼내들었지만 노사 임단협 결과 등에 따라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신차 배정이 이뤄지더라도 당장 한국지엠 사태를 풀 묘수가 되는 것은 아니다. 신차 물량마저 없으면 부평·창원공장도 위태로워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신차가 배정돼도 지엠이 언급한 50만대 생산을 유지하기에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한국지엠이 지엠 본사로부터 빌린 3조원 규모의 차입금 처리 문제는 또다른 뇌관이다. 지엠은 일단 이달 만기 도래한 한국지엠 대출금 7천억원의 회수는 실사가 끝날 때까지 연기하기로 했지만 그 뒤에 어떻게 할지는 정하지 않았다. 특히 한국지엠은 4월 초순 만기 채권이 1조원에 달해 한달여 뒤엔 적어도 1조7천억원 규모의 채권을 막아야 한다.
또 인건비 절감 등 비용 축소를 요구해온 지엠은 신차 배정에 앞서 노사 합의를 이뤄내지 못하면 다음 달 임금을 주기 어렵다며 노조를 압박하고 있다. 이에 맞서 노조는 군산공장 폐쇄 철회, 임원 축소, 신차 투입에 대한 확약, 물량 확대방안 제시 등을 요구하고 있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