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1%%] 임·단협을 둘러싼 르노삼성자동차 노사 갈등이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사태 장기화로 인한 경제계 안팎의 우려에 고용노동부 장관까지 중재에 나섰으나 돌파구를 열지 못했다. 25차례 교섭 결렬과 부분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이 빚어지면서 후유증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이재갑 고용부 장관은 11일 오후 르노삼성차 부산공장을 찾아 노사를 차례로 만났다. 노사 관계가 악화하면서 부품업체 경영난이 가중되는 등 지역 경제 전반에 끼치는 영향이 심각하다는 점을 들어 원만한 타결을 당부했지만, 노사는 이날도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사쪽 협상 대표인 이기인 제조본부장(부사장)이 지난 9일 교섭장에서 사퇴 의사를 밝힌 이후, 10일 주·야간 4시간씩 부분파업을 벌인 데 이어 12일에도 부분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 부사장의 사임은 회사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했다는 점을 알리고 노조에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그러나 노조는 사쪽의 협상 태도에 변화가 없다는 점에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르노삼성 노사 갈등의 핵심은 외주화와 전환배치, 노동강도 문제 등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사쪽은 이를 ‘협의’ 사안으로 해결하자는 자세이지만, 노조는 “고용불안 문제를 해소하고 노동강도를 완화하기 위해선 ‘노사 합의’로 해야한다”며 맞서고 있다. 특히 사쪽은 전환배치 문제를 노사 합의로 하는 것은 인사·경영권의 침해여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고용 불안과 노동강도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선 비정규직을 늘리는 외주화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국내 완성차 업체 가운데 지난해 임·단협을 마무리 짓지 못한 곳은 르노삼성이 유일하다. 지난 2011년 적자를 낸 르노삼성은 2012년 구조조정 등을 통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흑자 기조를 이어오고 있는데, 지난해 출범한 노조 새 집행부는 생산라인 직원들이 감내해온 노동 강도 등을 대폭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주재정 노조 수석부위원장은 “부산공장에선 하나의 생산라인에서 7개 차종을 혼류 생산하고 있는데 많은 조합원들이 작업장의 노동강도가 너무 세다고 토로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부산공장에서 위탁 생산 중인 닛산 스포츠실용차(SUV) ‘로그’의 후속 물량 등을 확보하기 위해선 지금의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준의 임·단협을 맺어서는 곤란하다고 주장하는 사쪽과 부닥치면서 노조는 지난해 10월부터 부분파업을 이어오고 있다. 노사 대립이 ‘강대강’으로 치달으면서 르노삼성은 생산 차질과 판매 하락이라는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 르노삼성의 지난 1분기 생산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의 40%로 줄어들었다. 회사 쪽은 “노조 파업으로 인해 내년부터 부산공장에서 생산할 신차 ‘XM3’의 수출 물량 확보도 불투명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르노삼성은 이달 말 공장 가동을 일시 중단하는 방안과 함께 부산공장 근무 형태를 현행 2교대에서 1교대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르노삼성은 국내 완성차 업계에서 비교적 모범적인 노사관계를 이어온 곳으로 꼽혀왔었다. 2016년 2월에는 당시 이기권 노동부 장관이 모범 사업장을 격려하는 취지로 부산공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부산상공회의소 등 지역 경제계는 “3년째 이어지던 르노삼성의 무분규 협상이 깨지고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협력업체의 절반 이상이 몰린 부산·경남 지역 경제가 큰 피해를 입고 있다”며 조속한 타결을 촉구했다. 노사는 오는 16일 교섭을 재개할 예정이다. 홍대선 기자 hongds@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