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위아 직원이 20일 경남 창원시 창원2공장에서 ‘전자식 차동제한장치’(e-LSD)를 만들고 있다. 현대위아 제공
현대자동차 부품 계열사인 현대위아는 후륜 구동 기반의 ‘전자식 차동 제한장치’(e-LSD)의 개발을 마치고 양산에 들어간다고 20일 밝혔다.
이 부품은 주행과 노면 상황에 따라 좌우 바퀴에 구동력을 배분해 최적화된 주행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로, 최근 출시된 제네시스 스포츠실용차(SUV) ‘GV80’에 처음으로 장착된다. 일반적인 직진 주행 상황에서는 바퀴의 왼쪽과 오른쪽에 동일한 동력을 배분하다가 급격한 선회 주행 또는 늪에 빠지는 상황 등 한쪽 바퀴가 헛돌 때 반대편 바퀴에 동력을 집중해 탈출을 돕는 식이다. 특히 고속으로 코너를 돌 때 운전자의 의도대로 회전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좌우측 바퀴에 동력을 적절히 배분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국내 차 부품업체가 뒷바퀴 차량용 전자식 차동 제한장치를 생산하는 것은 처음이다. 현대위아는 창원2공장에서 연간 6만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회사 쪽은 “현대차의 i30N, 벨로스터N 등에 탑재되는 전륜 기반 장치를 만들며 쌓은 노하우를 모두 녹여 개발한 제품”이라 “후륜 차량용 기반 장치의 양산으로 모든 차에 대응할 수 있는 4륜구동 부품 양산 체제를 완벽히 갖추게 됐다”고 했다. 홍대선 선임기자
hongd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