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13년 만에 진라면 가격 684원→770원…라면값 줄줄이 오르나

등록 2021-07-15 15:02수정 2021-07-15 15:15

오뚜기, 평균 11.9% 인상…업계 원자재가 상승

진라면 등 오뚜기 주요 라면 가격이 인상된다. 올해 초 오뚜기는 가격 인상을 시도했다가 철회했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압력을 이기지 못해 결국 평균 11.9% 올리기로 했다. 라면 업계가 공통적으로 원가 상승 압박을 받고 있는만큼 다른 업체로도 번질 가능성이 크다.

오뚜기는 진라면 등 주요 라면 가격을 8월1일부터 평균 11.9% 인상한다고 15일 밝혔다. 지난 2008년 4월 이후 13년 4개월만이다. 구체적으로 진라면(순한맛·매운맛)은 684원에서 770원으로 12.6%, 스낵면은 606원에서 676원으로 11.6%, 육개장(용기면)이 838원에서 911원으로 8.7%씩 각각 인상된다.

오뚜기 쪽은 “최근 밀가루·팜유와 같은 식품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등의 상승으로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히 원가 개선 목적만이 아닌, 설비 투자 및 인원 충원 등을 통해 보다 좋은 품질개발과 생산에 이바지 할 수 있는 계기로 삼겠다”고 덧붙였다.

다른 업체도 라면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다. 농심 관계자는 “원가 부담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 내부적으로 고민이 크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삼양 관계자도 “현재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농심과 삼양은 각각 2016년 12월, 2017년 5월 인상 이후 라면값을 동결한 상태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1.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2.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3.

슬금슬금 엔화 강세…20개월 만에 100엔당 950원 넘어

삼성 반도체 1분기 ‘적자전환’ 전망…연간 영업익 ‘반토막’ 가능성 4.

삼성 반도체 1분기 ‘적자전환’ 전망…연간 영업익 ‘반토막’ 가능성

군것질 겁난다…부라보콘·슈퍼콘도 빼빼로 이어 200원 ↑ 5.

군것질 겁난다…부라보콘·슈퍼콘도 빼빼로 이어 200원 ↑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