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디지털 역동성 가장 큰 나라는 베트남…한국은 G20 중위권

등록 2021-10-05 08:59수정 2021-10-05 09:12

이코노미 인사이트 _ Economy insight
그래픽 뉴스 l 2021 세계 권역별 디지털 역동성 순위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세계에서 디지털 역동성이 가장 큰 나라로 베트남이 꼽혔다. 유럽디지털경쟁력센터(ECDC)가 세계 137개국을 대상으로 디지털 분야의 경쟁력 변화를 조사해 9월 초 발표한 ‘디지털 역동성 보고서 2021’에서 베트남은 +339점이라는 높은 점수로 1위를 차지했다.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중국(+211)이 가장 역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디지털 분야 생태계와 사고방식의 두 가지 범주에서 2018~2020년 3년 동안 각국이 보인 경쟁력 변화로 디지털 역동성을 평가했다. 생태계 평가항목에는 △벤처자본 유용성 △창업비용 △창업기간 △외국인 노동자 고용 △대졸자 기술역량, 사고방식 평가항목에는 △활동적 인구의 디지털 기술 △창업 리스크에 대한 태도 △노동력 다양성 △모바일 인터넷 가입 △기업의 혁신 아이디어 수용이 포함됐다.

한국은 평가점수가 0으로, G20 가운데 중위권에 머물렀다. 한국의 디지털 사고방식은 조금 개선(+5)됐으나 생태계가 그만큼 퇴보(-5)했다. 베트남은 디지털 사고방식(+200)과 생태계(+139)가 급속히 발달해 역동성이 압도적으로 높게 평가됐다. 베트남은 2030년까지 디지털경제가 국내총생산(GDP)의 30%를 차지하도록 한다는 담대한 비전을 세웠다.

중국도 사고방식(+130)과 생태계(+81)가 함께 크게 나아졌다. 선진국 가운데서는 캐나다(+47), 이탈리아(+34), 프랑스(+28)가 상대적으로 역동적이었다. 이들 나라의 역동성에는 막대한 규모의 디지털 투자가 크게 기여했다. 특히 이탈리아는 주요 7개국 꼴찌에서 2위로 뛰어올랐다.

반면 초강대국 미국(-72)은 디지털 사고방식(-21)과 생태계(-51)가 동시에 뒷걸음친 것으로 조사됐다. 전통적 제조업 기술강국인 일본과 독일은 각각 -190점과 -176점으로 G20 가운데 최하위권에 들었다. 전체 조사 대상국에서 -396점(사고방식 220, 생태계 -176)을 얻은 인도가 디지털 역동성이 가장 떨어지는 나라로 조사됐다.

박중언 부편집장 park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상·하위 10% 가계 소득 격차 첫 2억 넘겨…국민도 기업도 양극화 1.

상·하위 10% 가계 소득 격차 첫 2억 넘겨…국민도 기업도 양극화

매일 2740원, 매일 2025원…각양각색 ‘소액 적금’ 유행 2.

매일 2740원, 매일 2025원…각양각색 ‘소액 적금’ 유행

참사 후속 조처…제주항공 “3월 말까지 국내·국제선 1116편 감편” 3.

참사 후속 조처…제주항공 “3월 말까지 국내·국제선 1116편 감편”

존엄 회복의 발판이 된 일터에서...세상 가장 향기나는 커피를 뽑다 4.

존엄 회복의 발판이 된 일터에서...세상 가장 향기나는 커피를 뽑다

중국·중동 생산 급증, 석유화학 경쟁력 위기 5.

중국·중동 생산 급증, 석유화학 경쟁력 위기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