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영 신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사진)이 6일 경제적 불평등, 기후 문제 등 중앙은행이 새롭게 직면하는 도전들에 대해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박 위원은 이날 취임 인사 보도자료를 통해 “통화정책의 패러다임은 역사적 사건에 직면하면서 계속 진화해 왔다”며 “가까운 예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비전통적 통화정책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논의가 시작 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후 통화정책의 개입 여부와 범위, 수단에 대한 고민들이 계속되고 있다”며 “또한 코로나19 상황과도 맞물리며 최근에는 중앙은행의 업무 영역이 아니라 생각했던 경제적 불평등 문제도 통화정책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렇게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통화정책 패러다임이 진화하는 양상을 고려하면 현재 중앙은행은 단기, 중장기 모든 시계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당장 단기적으로는 포스트 코로나 상황에 통화정책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중장기적으로는 인구구조의 변화, 4차 산업혁명, 기후 리스크 등을 고려한 중앙은행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며 “최근에 코로나19 상황과 자산시장 과열 문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재정정책, 거시건전성 정책과의 정책 조합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위원은 “이미 한은 내부에서 선제적으로 많은 연구와 검토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저도 제 자리에서 조금이나마 기여를 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한은 금통위는 기준금리 결정을 하는 곳으로 총재와 부총재 외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박 위원은 금융위원장으로 자리를 옮긴 고승범 전 금통위원의 자리를 채울 예정이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