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은행 가계대출이 6조5천억원 증가했다. 대출 규제 강화에도 증가 규모가 전월과 비슷했다. 다만 은행권 대출 축소 및 중단 영향은 신용대출 부분부터 조금씩 나타나는 모습이다. 연말로 갈수록 가계대출 수요자들이 느끼는 기준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행은 13일 ‘2021년 9월 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를 통해 지난달 중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은 6조5천억원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 8월 증가 규모인 6조1천억원과 비슷했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은 셈이다.
주택담보대출은 5조7천억원 증가하면서 전월(5조8천억원) 증가 규모를 유지했다. 주택매매 및 전세 거래 자금 수요가 이어진 탓이다.
반면 9월 중 일반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8천억원 늘었다. 증가 규모가 지난 8월(3천억원)에 비해서는 확대됐지만, 7월(3조6천억원)과 비교하면 축소됐다. 8월에는 공모주 청약 반환금이 있어 기타대출 증가 규모가 이례적으로 작았다. 한은은 은행들의 대출 중단 등 규제 강화가 기타대출부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박성진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일부 은행의 대출 한도 축소 등의 조처는 일단 기타대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며 “관련 영향이 9월에 일부 반영되고, 앞으로 점진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자영업 부진으로 개인 사업자 대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9월 기업 대출 중 개인 사업자 대출은 3조5천억원 증가했는데, 이 또한 증가 규모가 전월(3조4천억원)과 유사했다.
각종 경고에도 대출이 끊이지 않는 것은 높은 수요 때문이다. 박 시장총괄팀 차장은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에도 코로나19 발생 이전 평균보다 아직 큰 편”이라며 “여전히 높은 수준의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1~9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63조9천억원이다. 2019년 같은 기간에는 39조4천억원 증가한 바 있다.
한은은 다음 달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정부와 금융권도 대출 규제를 계속 강화할 계획이다. 해당 조처들이 대출 수요를 누를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박 시장총괄팀 차장은 “기준금리 인상은 은행 대출 금리에 반영될 때까지 시차가 있다”며 “장기적으로 보면 대출 수요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슬기 기자
sgj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