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인상이 물가를 밀어올리는 이른바 ‘임금발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의 발생 가능성이 낮다는 국제기구 분석 결과가 나왔다. 기후변화 대응을 미루면 나중에 더 큰 경제적 비용을 치러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오는 11일(현지시각) ‘세계 경제 전망’ 발표를 앞두고 9일 먼저 공개한 정책 보고서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국제통화기금의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는 첫 장에서 세계 경제 전망 및 정책 권고를 제시하고, 그 뒤의 장에 경제 현안에 관한 자체 조사 보고서를 담는다.
국제통화기금은 ‘코로나19 이후의 임금 역학 및 임금·물가의 악순환적 상승 위험’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최근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일부에선 임금과 물가가 지속해서 오르며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며 “비슷한 과거 사례에서 평균적으로 임금 상승이 나타나지 않았고, 현재 통화 정책도 공격적으로 긴축되고 있는 만큼 임금과 물가의 악순환적 상승이 나타날 위험은 제한적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임금 인상발 물가 상승이란 고물가로 임금 인상 압력이 커지면 물가를 추가로 자극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는 게 핵심이다. 국내에서도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이 이를 거론하며 경영계에 임금 인상 자제를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보고서는 과거의 비슷한 물가 급등 사례를 보면 이런 악순환이 나타날 가능성은 적다고 평가했다. 예를 들어 미국은 ‘2차 석유 파동’이 발생한 1979년 2분기부터 4분기 동안 소비자 물가가 급격히 상승했으나, 실질 임금(물가 상승효과를 제거한 실질적인 임금)은 오히려 하락했다는 것이다. 이는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이 공격적인 정책금리 인상을 단행했기 때문이다. ‘1차 석유 파동’이 있었던 1973년에도 미국의 실질 임금은 뒷걸음질했다.
2차 세계 대전 직후인 1947년 1분기 미국에선 전쟁 기간 억눌린 수요가 폭발하며 소비자 물가와 명목 임금이 1년 전에 견줘 약 20%나 폭등했다. 하지만 1년여간 고공 행진하던 물가는 공급망 재조정 등으로 상승폭이 크게 축소됐다. 임금과 물가의 동반 상승 현상이 중장기적으로 지속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또 보고서는 최근의 물가 상승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갈등으로 인한 공급망 충격 때문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런 비용 증가는 임금 인상을 억제해 실질 임금 하락을 낳고 결과적으로 물가 압력을 낮추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국제통화기금은 ‘탈탄소 정책의 단기 거시 경제 영향’ 보고서를 통해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상품 가격 상승, 에너지 안보 우려 등으로 일부에서는 기후변화에 맞서 싸우면 세계적인 물가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며 “에너지 전환 정책을 중단하고 미루는 것은 통행료를 가중시킬 뿐”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내년부터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GHG) 배출세를 점진적으로 인상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금보다 약 25% 줄이면 적지 않은 경제적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기간 세계의 실질 경제 성장률이 매년 0.15∼0.25%포인트 낮아지고, 물가 상승률은 0.1∼0.4%포인트 높아질 수 있다고 추정했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은 “물가 상승 우려와 에너지 안보 때문에 현재의 물가 압력이 극복될 때까지 기다리면 에너지 전환 비용만 증폭시킬 뿐”이라며 “시기를 미루면 훨씬 더 빠르고 큰 폭으로 온실가스 배출세를 인상해야 한다”고 했다. 고물가를 이유로 기후변화 대응 속도를 늦추면 나중에 더 큰 비용을 치를 수 있다는 얘기다.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