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14억8400만원 vs 3000만원’…상·하위 10% 집값 차이 49배

등록 2022-11-15 17:42수정 2022-11-16 09:34

통계청 2021년 주택소유 통계
15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15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지난해 집값 상위 10%와 하위 10%의 평균 격차가 49.5배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이 지난해 개인 및 가구의 주택소유 현황을 파악한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 가운데 집값 상위 10%의 평균은 약 14억8400만원으로 1년 새 1억7500만원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집값 하위 10%의 평균은 3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00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고가 주택일수록 집값이 더 많이 오르면서, 상위 10%와 하위 10%의 평균 집값 격차는 49.5배를 기록했다. 이는 2019년 40.85배, 2020년 46.75배에서 더욱 확대된 것이다.

지난해 11월1일 기준 주택을 소유한 가구 수는 1206만3천가구로, 전년에 견줘 33만3천가구(2.8%) 늘었다. 전체 2144만8천가구 가운데 56.2%가 지난해 집을 소유하고 있었던 셈이다. 나머지 43.8%는 무주택 가구다. 주택 소유 가구 가운데 1채만 가진 가구는 73.9%(891만7천가구)였고, 2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 가구 비중은 26.1%(315만4천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무주택자에서 유주택자가 된 개인은 103만6천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1채를 취득한 사람이 100만명, 2채 이상을 취득한 사람은 3만6천명이었다. 거꾸로 유주택자에서 무주택자로 돌아선 사람은 55만2천명이었다.

집값 상승 영향으로 주택 소유 가구 가운데 고가 주택을 보유한 가구의 비중도 늘었다. 지난해 공시가격 기준 자산가액이 12억원을 넘어서는 주택을 보유한 가구 비중은 5%(60만2천가구)로, 전년 3.8%(44만8천가구)에서 1.2%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6억원 초과∼12억원 이하 주택 보유 가구 비중도 11.9%(143만2천가구)로, 전년 9.5%(111만3천가구)에 견줘 2.4%포인트 늘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1.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2.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3.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4.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5.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