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전국 1순위 청약경쟁률 8.5대 1…8년 만에 한 자릿수

등록 2022-12-18 10:56수정 2022-12-18 11:08

‘묻지마 청약’ 사라지고 ‘분양가 경쟁력' 단지에만 청약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올해 들어 이달 7일까지 전국 1순위 청약 경쟁률이 8.5대 1로 집계됐다. 8년 만에 한 자릿수 경쟁률이다. 금리가 올라 자금조달은 어려워지고, 집값은 내려갈 것으로 전망되면서 ‘묻지마 청약’이 사라진 결과로 풀이된다.

18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분석한 결과, 이달 7일까지 올해 전국 1순위 청약 경쟁률은 8.5대 1로 나타났다. 지난 2014년 평균 6.7대 1을 기록한 뒤 8년 만에 한 자릿수 경쟁률로 낮아졌다. 1순위 청약경쟁률은 2015년 11.1대 1, 2016년 14.3대 1, 2017년 12.0대 1, 2018년 14.2대 1, 2019년 14.8대 1로 두자릿수였다. 집값이 크게 상승한 2020년에는 26.8대 1로 치솟았고 지난해에도 19.1대 1로 높았다.

올해 1순위 청약 경쟁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시로, 397.3대 1이었다. 세종시는 전국에서 청약이 가능해 경쟁률이 높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이 밖에 부산 37.4대 1, 인천 15.3대 1, 대전 11.9대 1, 경남 10.6대 1로 두 자릿수 경쟁률이었고, 나머지 시도는 한 자릿수 경쟁률이었다. 집값 하락세가 짙었던 대구는 0.3대 1로 전국 최저 경쟁률을 보였다. 면적별로 보면, 전용 59㎡ 이하 소형 아파트의 평균 경쟁률이 13.3대 1로 다른 면적에 견줘 높았고, 85㎡ 초과 중대형은 11.1대 1, 65~85㎡ 중소형은 7.1대 1이었다.

청약 수요는 상대적으로 분양가 경쟁력을 갖춘 단지들에 몰렸고, 단지 규모·입지·브랜드가 좋아도 주변 시세보다 분양가가 높으면 청약 경쟁률도 낮았다. 이달 분양된 서울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 포레온'(둔촌주공)은 일반분양 물량이 4786가구나 나와 관심이 높았지만, 분양가가 높게 책정됐단 평가 속에 1순위 청약 경쟁률이 평균 4.7대 1에 그쳤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1.

90년 묵은 ‘상호관세’ 꺼낸 트럼프…‘관세 98% 폐지’ 한국은 안심?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2.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3.

다양·평등·포용 지우는 빅테크…‘테슬라 인종차별’에 머스크는 몸사려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4.

위기의 롯데그룹…내수·외국인 관광객에 명운 달렸다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5.

이어지는 백종원 빽햄 구설…주가도 ‘빽’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