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대출금리 안내문. 연합뉴스
오는 5월부터 금융회사별 신용대출 금리를 온라인에서 한눈에 비교해 낮은 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정부는 연내 주택담보대출까지 취급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9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전날 ‘제2차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 개선 실무작업반’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구축하고 있는 ‘대환대출 인프라’는 온라인으로 더 낮은 금리의 신용대출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게 하는 서비스다. 그동안 대환대출은 금융소비자가 직접 영업점을 방문해야 하고 대출상품 금리도 한눈에 비교가 어려워 불편함이 컸다. 당국이 오는 5월 출시 예정인 신용대출 대상 대환대출 인프라에는 은행 19개곳을 포함해 저축은행 18곳, 카드사 7곳, 캐피탈 9곳 등 모두 53곳의 금융회사가 참여한다. 전체 신용대출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규모다. 대출비교 플랫폼은 23개사가 참여한다.
금융당국은 금융회사가 플랫폼 사업자에 지급하는 수수료가 합리적으로 결정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오화세 금융위 중소금융과장은 “다수의 사업자들이 참여해 중개 수수료가 상당한 수준으로 인하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이같은 대환대출 인프라를 오는 12월에는 주담대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금융위는 “대출금의 규모가 크고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주담대의 간편한 대출 이동을 위해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대출금리 경쟁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주담대는 대환대출의 모든 절차를 온라인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등기 이전과 같은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해 출시 시점을 올해 12월로 잡고 금융소비자가 온라인으로 주담대 상품을 비교하고 대환대출을 신청하게 하는 인프라를 먼저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고한솔 기자
so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