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의 신용위험지수 추이
소득감소·집값하락 탓 채무상환능력 떨어져
우리나라 가계의 신용위험도가 5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다. 고용 사정 악화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로 가계의 채무 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국내 16개 은행의 여신업무 담당 책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금융기관 대출 행태 조사’ 결과, 올해 2분기 가계 신용위험 지수 전망치가 31로 1분기(25)보다 6 올랐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카드 사태 당시인 2003년 4분기(32) 이후 5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용위험 지수란 금융기관의 판단을 근거로 위험도를 -100~100 사이의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이 수치가 양수(+)이면 위험도가 늘었다고 응답한 금융기관 수가 많음을, 음수(-)이면 그 반대 경우를 뜻한다.
가계의 신용위험 지수는 지난해 1분기와 2분기에는 13에 머물다가 3분기 22, 4분기 25로 꾸준히 오른 뒤, 올해 1분기에도 25를 기록했다. 또 가계의 소득 여건 악화는 곧장 생활자금 수요로 이어져 2분기 중 가계의 일반자금 대출 수요는 1분기(-3)보다 크게 오른 13으로 전망됐다.
한은 금융안정분석국 신성환 과장은 “이처럼 가계의 신용위험도가 빠르게 늘고 있는 것은 고용 사정이 나빠지고 있음에도 주택가격 등 담보 가치는 떨어진 데 따른 것으로, 앞으로 위험도 증가세는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올해 들어 3월까지 노사가 합의한 ‘협약 임금’의 평균 인상률은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노동부는 3월 말 현재 100명 이상 사업장 6781곳을 조사해 보니, 임금 교섭을 타결한 837곳의 평균 인상률이 1.8%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1998년 -2.4%, 1999년 -0.8%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협약 임금 인상률은 노사가 합의한 임금 인상률로, 특별상여금 등은 빠져 실제 지급되는 명목임금 인상률과는 차이가 있다.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하기로 한 기업은 타결 사업장 가운데 41.8%인 350곳으로, 지난해 62곳에 견줘 크게 늘었다. 임금을 올리기로 한 기업은 487곳(58.2%)이었다. 노조가 있는 사업장의 임금 인상률은 평균 1.1%로, 노조가 없는 사업장 2.3%보다 낮았다. 노조가 있는 사업장은 전체의 8.3%만이 교섭이 타결됐다.
최우성 이완 기자 morgen@hani.co.kr
최우성 이완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