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가구당 부채부담’ 분석
우리나라 가계의 경우, 가구주가 은퇴 연령인 50대 중반에 이르기까지도 빚이 늘어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은 16일 ‘가계 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를 내어 2000~2007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해 가구당 부채 부담을 분석해 보니, 가구주의 나이가 대략 55살을 지나면서 부채규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가구주 나이를 기준으로 40살 전후(35~44살), 50대 전후(45~54살), 60살 전후(55~64살), 65살 이상 등 4개 연령대로 나눈 뒤, 각 연령층의 부채 부담 정도를 기준 연령대(35살 미만)과 비교하는 방식을 택했다.
연령대별 가구당 부채 규모는 기준 연령대에 견줘 40살 전후가 177만원, 50살 전후가 119만원 더 많았고, 60살 전후와 65살 이상에서는 각각 478만원, 2045만원 적었다. 대략 50대 중반 나이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부채 규모가 줄어들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소득 대비 부채비율(DTI) 역시 50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줄어들기 시작했다. 40살 전후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기준 연령대보다 3.59%포인트 높았고, 50살 전후 연령대는 0.85%포인트 떨어져 소폭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후 감소폭이 커져 60살 전후(-25.01%포인트)와 65살 이상(-80.14%포인트)에서는 소득 대비 부채비율이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 연령대에 걸쳐 서울에 사는 가구의 부채 규모가 지방 가구보다 평균 569만원 더 많았고 소득 대비 부채비율 역시 15.25%포인트나 높게 나타났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