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국면별 가계소비 증가율
경기둔화 ‘부채질 효과’
“경기살리려면 집값안정”
“경기살리려면 집값안정”
우리 경제가 외환위기를 겪은 뒤부터 가계소비의 변동성이 확대돼 경기변동의 진폭을 더욱 크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우리 경제가 가계소비라는 일종의 ‘범퍼’(완충장치)도 갖추지 못한 채 내달리는 자동차와 같은 모양새인 셈이다.
30일 한국은행의 ‘조사통계월보’ 7월호에 실린 ‘외환위기 전후 가계소비의 경기대칭성 변화 분석’ 보고서를 보면, 외환위기 이전(1980년 1분기~1997년 3분기) 2.5%포인트이던 가계소비 증가율(전년동기대비)의 표준편차는 외환위기 이후(1997년 4분기~2008년 4분기)엔 6.7%포인트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의 표준편차는 3.3%포인트에서 4.4%포인트로 늘어나는 데 그쳐, 가계소비의 변동폭이 성장률 변동폭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과거에는 가계소비가 경기가 가라앉는 시기에도 일정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외환위기 이후에는 경기수축기에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는 등 경기둔화 정도를 되레 증폭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위기 이전에는 경기확장기와 수축기 동안 가계소비의 증가율 격차가 1.4%포인트에 그쳤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9.7%포인트로 크게 벌어졌다. 이처럼 가계소비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된 데는 외환위기 이후 가처분소득이 줄어들어 가계의 소비여력이 떨어진데다, 특히 자산시장 움직임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한은은 외환위기 이전에는 주택가격이 1%포인트 오를 때 민간소비는 0.05%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는 0.07%포인트로 상승폭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경기확장기와 수축기 동안 주가 및 주택가격의 등락률 격차는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각각 8.1포인트와 -1.2%포인트에서 57.4%포인트와 5.4%포인트로 크게 확대됐다.
가계소비가 경기의 완충장치 역할을 하려면, 무엇보다 부동산 가격 안정을 통해 가계부채가 지나치게 늘어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한은 관계자는 “부동산 가격의 안정은 소비의 변동성을 줄여주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중저소득층의 저축률을 높이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