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총사업자수 추이
지난해 7.3%↑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겠다며 ‘비즈니스 프렌들리’(친기업)를 내세운 이명박 정부 들어 부동산 관련 분야의 사업자 수가 유독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박 정부 집권 첫해 동안의 사업자 수 증가율은 참여정부 5년간의 평균치에 못 미쳤다.
28일 국세청이 발표한 ‘2009년판 국세통계연보’를 보면, 지난해 말 현재 법인사업자와 개인사업자 등을 모두 더한 우리나라의 총사업자 수는 523만4702개(명)로, 2007년 말(500만5870개)에 견줘 4.6% 늘어났다. 이 가운데 법인사업자 수는 50만4588개로 2007년 말보다 5.3% 늘었다.
지난해 총사업자 증가율은 참여정부 5년간의 평균치(5.3%)보다 낮은 수치다. 법인사업자 증가율 역시 참여정부 평균치(5.6%)를 밑돌았다. 이는 지난해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창업 등 기업활동의 활력이 다소 떨어진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난해 사업을 시작한 신규 총사업자 수는 108만7533개로 1년 전보다 4.3% 줄었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서도 유독 부동산 관련 분야의 사업자 수가 크게 늘어 눈길을 끈다. 지난해 말 현재 건설업을 비롯해 부동산 임대업 및 매매업 등 부동산 관련 분야의 총사업자 수는 141만335개로, 2007년 말(131만3980개)보다 7.3%나 늘어났다. 이는 제조업 총사업자 수 증가율(5.3%)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자영업자 구조조정 등의 영향을 받아 음식·숙박업 총사업자 수는 62만4715개로 1년 전보다 1.8% 늘어나는 데 그쳤다.
한편, 국세청이 올해 처음으로 공개한 시·군·구 단위별 사업자 수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현재 총사업자 수가 10만개를 넘는 지역은 서울 강남구(12만852개)와 중구(11만1545개), 경기 고양시(10만2585개)와 수원시(10만1214개) 등 4곳이다. 군 단위지역에서는 경기 여주군(1만5212개)이 사업자 수가 가장 많았다.
최우성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