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투자자 울리는 기업들 ‘닮은꼴’

등록 2010-04-19 22:14

대표변경 밥먹듯, 거래량 들쑥날쑥…
거래소, 불공정거래 특징 분석
#1.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ㄱ사의 전 대표이사는 유상증자 대금 수백억원을 횡령한 뒤, 갖고 있던 회사 지분을 모두 팔아치웠다. 대표이사가 바뀌고 횡령 사실을 공시했지만, 전 대표이사는 이미 손을 털고 떠난 뒤였다. 회사의 내부 정보를 활용하는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의 한 사례다.

#2. 코스닥 상장사인 ㅅ사는 기존 사업이 부실해지자 최대주주를 바꿔 경영권을 넘기고, 새 최대주주가 신사업 추진을 발표했다. 이 회사는 사채업자들과 공모해 주가를 띄우고, 자금 조달을 한다며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발행을 반복했다. 이렇게 마련한 돈으로 전 최대주주가 지분을 갖고 있는 별도 회사를 고가에 인수했다. 시세조종 및 횡령의 전형적인 사례다.

갑자기 주가가 오르거나 거래량이 폭증하는 기업, 대표이사를 자주 바꾸는 기업, 유상증자와 신종 사채 발행 등으로 자금조달이 잦은 기업은 투자에 유의해야 할 것 같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위원장 이철환)가 19일 내놓은 ‘2009년 불공정거래 혐의 통보 종목의 특징 분석’ 자료를 보면,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혐의가 있는 기업들의 경우 하루 평균 거래량이 1개월 전에 견줘 평균 67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세조종’ 혐의가 있는 기업들의 경우, 코스닥시장은 평균 970%, 유가증권시장은 평균 351% 가량 거래량이 증가했다. 시세조종 혐의가 있는 코스닥시장 기업의 평균 주가상승률은 169%, 유가증권시장 기업의 평균 주가상승률은 92%로 인위적으로 주가를 높게 띄우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불공정거래 유형별로는,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이 116건(39%)으로 가장 많았고, 시세조종(55건, 19%), 단기매매차익(54건, 18%), 보고 위반(72건, 24%)의 차례였다.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의 경우, 호재성 정보(54건)보다 악재성 정보(69건)를 이용한 불공정 거래가 더 많았으며, 최대주주가 개인일 경우와 주식 액면가가 500원인 기업에서 불공정거래 혐의가 자주 나타났다. 특히 유상증자로 자금조달(95종목) 후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을 발행한 기업이 88%나 됐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1.

‘3조원 비과세 배당’ 우리금융 주가 급등…감액 배당이 뭐죠?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2.

3월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출범…주식거래 어떻게 운영되나

신규 상장기업 주식 100억 이상 ‘신흥 주식부자’, 지난해 124명 탄생 3.

신규 상장기업 주식 100억 이상 ‘신흥 주식부자’, 지난해 124명 탄생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4.

마지막 ‘줍줍’…세종 무순위 아파트 3가구 120만명 몰렸다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5.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