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메시지 이용 강제로 직원 ‘정리’ 논란도 일어
희망퇴직을 신청한 국민은행 직원이 3000명을 넘었다. 업계 최대 규모의 인력 구조조정이 이뤄질 전망이다.
국민은행은 일주일 동안 희망퇴직 신청을 접수한 결과 신청자 수가 3247명으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희망퇴직 신청자 중에는 무기계약직 등 계약직 직원도 15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2005년 구조조정 당시 희망퇴직자 2198명보다 1000명 이상 많은 것으로 2001년 옛 국민은행과 옛 주택은행의 통합 이후 최대 규모다. 금융업계 내에서도 최대이며, 국내 전체 기업 중에서는 케이티(KT)의 2009년 5992명, 2003년 5505명에 이어 세번째로 많다. 국민은행은 이날부터 희망퇴직 신청자를 대상으로 심사를 진행해 이르면 이달 말 최종 퇴직자를 확정하고 다음달 11일 퇴직 처리할 방침이다.
국민은행은 희망퇴직 신청자에게 최대 기본급 36개월치를 제공하고 자녀 2명 학자금을 대학까지 지원하는 등 업계 최고 수준의 조건을 제시했다. 2400만원의 창업 장려금을 2년간 지원하고 재취업을 원하면 2년간 후선센터 지원업무와 케이비(KB)생명 보험설계사 등 일자리를 제공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퇴직자 2000명을 기준으로 3000억~4000억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3200여명이 퇴직하게 되면, 상반기 당기순이익 1735억원의 3배에 이르는 비용이 한꺼번에 빠져나갈 수 있다.
이번 희망퇴직 신청 과정에서 국민은행 지역본부와 지점 등에서 전화와 문자메시지(SMS) 등을 통해 직원들에게 퇴직 대상자임을 통보하면서 강제 인력 구조조정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