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정책금융공사, 산은에 3000억 규모 배당 요구

등록 2011-03-06 21:16

당기순익 26.5% 배당 합의
산은노조 “비상식적” 반발
산은금융지주의 최대주주인 정책금융공사가 산은에 수천억원의 고액 배당을 요구해 산업은행 노조가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6일 정책금융공사와 산은금융지주의 말을 종합하면, 정책금융공사와 산은은 올해 당기순이익의 26.5%를 배당하기로 합의했다. 산은의 올해 이익이 1조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대우증권 등 다른 계열사를 합치면 정책금융공사는 3000억원에 이르는 배당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산은 노조는 5일 성명서를 통해 정책금융공사의 고액 배당 요구를 강력히 비판했다. 노조는 “다른 국책금융기관들인 수출입은행의 18.5%, 기업은행의 20.5%, 그리고 산업은행의 지난 5년간의 평균 배당성향인 15%에 비춰 봐도, 이번 정책금융공사의 배당요구는 비상식적”이라며 “산은금융지주 수익의 대부분이 산업은행의 수익임을 감안하면, 정책금융공사의 이런 무리한 배당요구는 산업은행 직원들이 만들어낸 성과를 가로채는 것일 뿐 아니라 변화와 발전을 향하는 산업은행의 미래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정책금융공사는 기획재정부의 배당 요구와 산은으로부터 인수한 산업금융채권 이자 등에 따른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고액배당을 요구하게 됐다고 밝혔다. 정책금융공사 관계자는 “재정이 어려워지자 정부가 공기업의 내부 유보를 줄이고 이익 환수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최대주주인 정부의 뜻에 따를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정책금융공사는 지난 2009년 출범하면서 산은으로부터 공기업 주식을 자본금으로 넘겨받으면서 산업금융채권 약 16조원어치를 함께 넘겨받았는데, 그 이자로만 1년에 7000억원 정도 들어간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산은 노조 관계자는 “지난 5년 동안 4번의 임금동결과 1번의 임금삭감이 보여주듯, 산은이 낸 이익은 직원들의 희생의 결과”라며 “민영화를 하려면 현금유보율을 높여 재정건전성을 높여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돈을 빼내갈 거라면 민영화 계획을 백지화하고 정책금융공사를 없애는 게 낫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원-달러 환율 1500원까지 오르면 2월 기준금리 인하 어렵다 1.

원-달러 환율 1500원까지 오르면 2월 기준금리 인하 어렵다

세계 3위 완성차 회사는 ‘백일몽’?…닛산-혼다 합병 중단 2.

세계 3위 완성차 회사는 ‘백일몽’?…닛산-혼다 합병 중단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3.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4.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정부·민간기업, ‘딥시크’ 이용 잇단 제한…“민감 정보 유출 우려” 5.

정부·민간기업, ‘딥시크’ 이용 잇단 제한…“민감 정보 유출 우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