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기순익 26.5% 배당 합의
산은노조 “비상식적” 반발
산은노조 “비상식적” 반발
산은금융지주의 최대주주인 정책금융공사가 산은에 수천억원의 고액 배당을 요구해 산업은행 노조가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6일 정책금융공사와 산은금융지주의 말을 종합하면, 정책금융공사와 산은은 올해 당기순이익의 26.5%를 배당하기로 합의했다. 산은의 올해 이익이 1조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대우증권 등 다른 계열사를 합치면 정책금융공사는 3000억원에 이르는 배당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산은 노조는 5일 성명서를 통해 정책금융공사의 고액 배당 요구를 강력히 비판했다. 노조는 “다른 국책금융기관들인 수출입은행의 18.5%, 기업은행의 20.5%, 그리고 산업은행의 지난 5년간의 평균 배당성향인 15%에 비춰 봐도, 이번 정책금융공사의 배당요구는 비상식적”이라며 “산은금융지주 수익의 대부분이 산업은행의 수익임을 감안하면, 정책금융공사의 이런 무리한 배당요구는 산업은행 직원들이 만들어낸 성과를 가로채는 것일 뿐 아니라 변화와 발전을 향하는 산업은행의 미래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정책금융공사는 기획재정부의 배당 요구와 산은으로부터 인수한 산업금융채권 이자 등에 따른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고액배당을 요구하게 됐다고 밝혔다. 정책금융공사 관계자는 “재정이 어려워지자 정부가 공기업의 내부 유보를 줄이고 이익 환수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최대주주인 정부의 뜻에 따를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정책금융공사는 지난 2009년 출범하면서 산은으로부터 공기업 주식을 자본금으로 넘겨받으면서 산업금융채권 약 16조원어치를 함께 넘겨받았는데, 그 이자로만 1년에 7000억원 정도 들어간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산은 노조 관계자는 “지난 5년 동안 4번의 임금동결과 1번의 임금삭감이 보여주듯, 산은이 낸 이익은 직원들의 희생의 결과”라며 “민영화를 하려면 현금유보율을 높여 재정건전성을 높여야 하는데, 이런 식으로 돈을 빼내갈 거라면 민영화 계획을 백지화하고 정책금융공사를 없애는 게 낫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