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금융위기 복구도 안끝났는데…세계경제 또 ‘시한폭탄’

등록 2011-03-14 20:32수정 2011-03-14 20:58

닛케이지수 6.18%↓…일 중간재 수급차질 예고
불안한 엔화·막대한 보험금도 금융시장 ‘화약고’
‘동일본 대지진’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95년 고베 대지진 때보다도 피해 규모가 훨씬 큰 데다가, 무엇보다 당시보다 세계경제와 일본경제의 기초체력이 많이 떨어진 가운데서 터진 대형 참사인 탓이다.

당장 일본의 증시는 대지진과 원전 폭발의 여파로 직격탄을 맞았다. 14일 도쿄 주식시장에서 닛케이평균주가지수는 지난 주말에 견줘 633.94(6.18%)나 떨어진 9620.49로 마감했다. 대지진과 쓰나미, 원전 폭발 등에 따른 경제적 타격이 클 것이라는 우려로 투자자들이 주식을 던졌다. 이날 도쿄 증시의 하락폭은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주가가 폭락했던 2008년 10월 24일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이번 대지진이 일본 산업생산 활동에 미칠 충격파는 상상 이상이다. 지진과 쓰나미 피해 지역은 일본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40%가 집중된 요충지일 뿐 아니라, 특히 일본 전체 발전용량의 31%를 차지하는 원자력발전소가 몰려 있는 곳이다. 일본경제의 성장동력이 크게 약화된 시점에 이번 사태가 터졌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해 3분기 3.3% 성장했던 일본경제는 정부 보조금 종료에 따라 가계소비가 줄어들어 이미 4분기에 성장률이 -1.3%로 곤두박질친 상태다.

미국경제가 금융위기의 충격에서 완전히 헤어나지 못하고 유럽경제마저 재정위기로 힘을 잃은 상황에서 대지진이 터진 터라, 세계경제에 미칠 충격도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물론 전세계 국내총생산(GDP) 총액 대비 일본 국내총생산 비중은 지난 95년 17.9%에서 지난해 말엔 8.8%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 상태지만, 자본재와 중간재가 주력 수출품인 일본은 세계경제의 산업생태계에서 여전히 중요한 연결고리 구실을 하고 있다. 이번 대지진으로 파괴된 일본의 산업생산시설 복구가 늦어질 경우 세계경제는 교역감소와 경기둔화라는 연쇄작용을 피하기 힘든 처지다.

금융부문에 미칠 파장은 더욱 심각할 수 있다. 일본의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은 이날 정책이사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0~0.1%로 동결하고, 18조엔(약 250조원)에 이르는 정책자금을 긴급 공급한다고 발표했다. 증시 폭락과 엔화의 급등락을 막기 위한 조처였지만, 증시에 퍼진 불안감을 막기에 역부족이었다. 엔화는 시장의 예상을 깨고 대지진 뒤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과거 고베 지진 당시에도 3개월 동안 엔화 가치가 달러에 견줘 20% 가까이 상승한 적이 있다는 학습효과에다, 재건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나라밖에 투자했던 일본 자금이 본격적으로 일본 국내로 유턴하리라는 기대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엔화 강세’가 계속될지에 대해선 의구심이 많다. 지난 94년 말 84.0%이던 일본 정부의 총부채비율은 2009년 말 기준으로 이미 225.9%까지 치솟은 상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도 같은 기간 3.69%에서 10.23%로 급증했다. 엔화 가치를 지탱할 만한 여력이 그만큼 줄어들었다는 뜻이다. <월스트리트저널>도 14일 “대지진 발생 직후 상황과는 달리 엔화 강세는 그리 오래 지속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지진 피해 복구과정에서 차츰 드러날 막대한 보험금 문제도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들 수 있는 변수다. 미국 리스크분석회사 <에어월드와이드>는 지난 13일 이번 사태로 인한 재해보험금이 최소 145억달러에서 최고 346억달러에 이를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세계 금융시장을 쥐락펴락하는 거대 금융기관들이 한데 얽혀 있을 가능성이 높아, 정확한 피해규모 산정과정에서 보험-재보험으로 복잡하게 엉킨 실타래가 하나하나 풀릴 경우 지난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의 불씨를 당겼던 부채담보부증권(CDO)처럼 금융시장 불안정성을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다. 최우성 기자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1.

“대규모 세수결손 없을 것”이라더니…2년 연속 수십조 결손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2.

한국 철강에 ‘트럼프발 관세전쟁’ 회오리

세수 예측 실패, 20조원은 집행도 못했다 3.

세수 예측 실패, 20조원은 집행도 못했다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4.

금융시장의 ‘최후 보루’ 중앙은행…내란 이후 한은 총재의 결정

미국 증시 ‘고평가론’ 확산…M7 비틀대고 관세전쟁 먹구름 5.

미국 증시 ‘고평가론’ 확산…M7 비틀대고 관세전쟁 먹구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