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미국 저작권법, FTA 반영 안했다”

등록 2011-12-27 08:38수정 2011-12-27 16:27

미 전문가 ‘한겨레’ 질의에 답변
‘한국에 심각한 불평등’ 지적
미국의 형법과 저작권법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미국법과 협정이 어긋난다는 지적이 미국 쪽에서 나왔다. 한-미 협정은 우리나라에서는 국내법과 효력이 동등하지만 미국에서는 관련 법률이 개정되지 않으면 효력이 없기 때문에 한-미 협정이 미국법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 심각한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다.

지적재산권 분야의 전문가인 숀 플린 아메리칸대 교수(법학)는 26일 <한겨레>의 분석 요청에 대한 회신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미국의 지적재산권 관련법을 비교한 결과 최소한 3곳이 불일치한다”고 밝혔다. 우선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한 민형사 및 행정 조처를 규정한 지재권 집행 관련 조항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지적됐다. 플린 교수는 “한-미 협정 제18.10조 제28항을 보면 ‘위조 서류 또는 포장(라벨)’을 제작·배포하는 경우 형사처벌하도록 돼 있는데, 미국의 형법 제2318조는 위조 라벨이 저작물일 경우에만 형사처벌이 가능하도록 제한한다”고 설명했다. ‘위조 라벨’과 관련해 미국법의 적용 범위가 한-미 협정보다 훨씬 좁지만 미국은 이를 개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플린 교수는 한-미 협정 제18.4조(저작권 및 저작인접권) 제1항과 미국 저작권법 제101조가 규정한 ‘일시적 저장’이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터넷을 이용할 때 이용자 컴퓨터의 메모리에서 일어나는 ‘일시적 저장’을 한-미 협정에서는 명확하게 ‘복제’의 범위에 포함시킨다. 하지만 미국 법원은 자국 법률에 따라 저작물이 버퍼링 메모리에 몇 초간 저장된 것은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고 판결한 바 있다. 이 밖에 지재권의 ‘기술적 보호 조처’를 무력화하면 형사처벌하는 조항에서도 한-미 협정은 적용 대상을 ‘홍보·광고 또는 마케팅’으로 폭넓게 규정하지만, 미국 저작권법은 ‘마케팅’으로만 한정하고 있다.

남희섭 변리사는 “미국법이 한-미 협정을 반영해 개정되지 않으면 한국과 미국의 저작권자가 다른 권리를 누리는 불평등이 발생한다. 그럼에도 우리 정부는 필요한 이행조처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채 협정 발효만 밀어붙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정용진, 이명희 총괄회장 ‘이마트’ 지분 전량 매입…세부담 줄여 1.

정용진, 이명희 총괄회장 ‘이마트’ 지분 전량 매입…세부담 줄여

기업은행 240억 규모 금융사고…금감원 다음주까지 현장검사 2.

기업은행 240억 규모 금융사고…금감원 다음주까지 현장검사

글로벌 3대 신평사 “한국 정치 불확실성 길어지면 부정적 영향” 3.

글로벌 3대 신평사 “한국 정치 불확실성 길어지면 부정적 영향”

‘6조’ LG CNS 기업공개…또 ‘중복상장’ 논란 일 듯 4.

‘6조’ LG CNS 기업공개…또 ‘중복상장’ 논란 일 듯

6일의 설 연휴, 고속도로·공공주차장 무료로 열린다 5.

6일의 설 연휴, 고속도로·공공주차장 무료로 열린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