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기업들 60%가 사람 뽑기전 검증 기간 둔다

등록 2014-06-12 16:55

사람인 설문조사 60.7%, “정식 채용 전 유예기간 둔다”
역량 검증·직무 적응·조기이탈 막기 등 다양한 이유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326곳을 대상으로 ‘정식 채용 전 유예기간을 두는가’라고 물은 결과 198곳(60.7%)이 ‘그렇다’고 답했다.

유예기간을 두는 이유로는 ‘역량을 검증할 시간이 필요해서’(106곳·53.5%·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이어 ‘직무에 적응할 시간을 주기 위해서’(92곳·46.5%), ‘조직 적응력이 있는지 보기 위해서’(91곳·46%), ‘조기이탈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67곳·33.8%) 등의 답이 나왔다. 이밖에 ‘인턴 등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어서’(7곳·3.5%), ‘각종 증빙서류 검증을 위해서’(3곳·1.5%)라는 이유를 드는 기업도 있었다.

유예기간은 평균 3달로 집계됐다.

기업들이 유예기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항목은 신입사원의 경우 ‘업무 적성’(48곳·25.3%), ‘근속의지, 애사심’(35곳·18.4%), ‘팀 융화 여부’(26곳·13.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력사원은, ‘업무 관련 성과’(29곳·25%)가 가장 많았고, 그 뒤로 ‘업무 적성’(22곳·19%), ‘팀 융화 여부’(19곳·16.4%) 등 순으로 답이 나왔다.

유예기간이 끝나기 전 정식 채용하고 싶은 직원으로는 ‘업무에 대한 열의가 있는 직원’(112곳·56.6%·복수응답), ‘회사에 대한 애정과 근속의지가 강한 직원’(90곳·45.5%), ‘팀에 잘 적응해 시너지를 내는 직원’(85곳·42.9%), ‘근태 등 기본을 잘 지키는 착실한 직원’(76곳·38.4%), ‘조기에 성과를 내는 직원’(35곳·17.7%), ‘조직 사기를 높이는 분위기메이커형 직원’(31곳·15.7%) 등이 있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반도체·철강까지 관세폭탄 사정권…한국경제 직격 우려 1.

반도체·철강까지 관세폭탄 사정권…한국경제 직격 우려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2.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3.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딥시크가 보여준 ‘희망’, 네·카 목표주가 잇따라 올라 4.

딥시크가 보여준 ‘희망’, 네·카 목표주가 잇따라 올라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5.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