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취업 사교육비’ 1년에 평균 273만원 쓴다

등록 2014-10-06 20:10수정 2014-10-06 20:26

취업준비생 314명 조사
10명중 4명꼴로 “사교육 경험 있다”
“경제수준 높으면 취업 유리” 84%
최근 기업들이 ‘스펙 초월’ 채용을 확대하고 있지만 취업준비생들 가운데 ‘취업 사교육’을 받는 사람의 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취업준비생 314명에게 취업 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지 조사한 결과 42.7%가 ‘그렇다’는 답을 했다고 6일 밝혔다. 취업 사교육 유경험자는 2012년 39.2%(조사대상 873명)에서 2013년 34.8%(758명)로 다소 줄었으나 올해는 전년 대비 7.9% 증가했다.

이들이 일년 동안 취업 사교육비로 쓴 돈은 평균 273만원으로 집계됐으며, 10명 가운데 9명 꼴로 경제적 부담이 크다는 반응을 보였다. 취업준비생 84.1%는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취업이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 사교육비 가운데 지출이 가장 큰 항목은 ‘어학과 자격증 등 스펙 취득을 위한 사교육’(60.5%)였으며, ‘희망 직무 관련 전문교육’은 31.3%, ‘취업컨설팅과 면접교육 등 전형 관련 사교육’은 8.2%였다. 이는 전통적인 스펙 항목으로 꼽히는 어학과 컴퓨터 활용 능력, 자격증 취득에 여전히 무게를 두고 구직자들이 취업 준비를 하고 있음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취업 사교육을 받은 이유로는 ‘취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73.9%, 복수응답)를 첫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경쟁에서 뒤떨어질까 불안해서’(33.6%), ‘혼자 할 자신이 없어서’(30.6%), ‘효과적인 준비 방법 같아서’(29.9%), ‘학교 교육으로는 부족해서’(22.4%) 등이 있었다.

반면 사교육을 받지 않은 응답자(180명)는 그 이유로 ‘비용이 부담스러워서’(60.6%, 복수응답), ‘어떤 사교육을 받아야 할 지 몰라서’(33.3%), ‘효과를 확신할 수 없어서’(31.1%), ‘관련 기관이 마땅치 않아서’(13.3%),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2.2%) ‘사교육을 받을 시간이 없어서’(11.7%) 등을 들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1.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2.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3.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4.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5.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